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딸인 이방카(사진) 백악관 보좌관이 최근 중국에서 무더기로 상표권 승인을 받아 중국 통신장비 업체 ZTE(중싱) 제재 완화 관련성 및 ‘이해 상충’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 특허청은 최근 3개월 사이 ‘이방카 트럼프’가 신청한 13건의 상표권을 최종 승인했다. 이방카는 앞서 신청한 것을 포함해 총 34건의 상표권을 보유하게 됐다. 중국은 이방카의 다른 상표권 8개도 잠정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이방카 트럼프’는 2011년 설립된 패션 브랜드다. 이방카의 상표권은 아기담요부터 향수, 화장품, 그릇, 거울, 책, 커피, 초콜릿, 꿀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이방카 상표권 승인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ZTE 제재 완화를 발표했다는 점에서 국가 정책 결정에 대통령 일가의 사적 이익이 고려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16일 ZTE가 7년간 미국 기업들과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트위터에 “ZTE가 신속하게 다시 사업할 수 있도록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발표를 엿새 앞둔 지난 7일 이방카의 상표권 5건을 승인하고 21일에도 2건을 추가 승인했다. ‘ZTE 제재 발표-이방카 상표권 승인-ZTE 제재 완화 시사-추가 상표권 승인’ 순으로 이어지면서 가족의 사적 이익에 대통령 직위가 이용된 ‘부패’ 문제로 보는 시각이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시 주석은 ‘ZTE 사태’로 드러난 대미 기술격차 축소를 위해 과학기술자들에게 기술 발전 속도를 높이라고 주문했다. 시 주석은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과학원·중국공정원 합동 연례회의 연설에서 “세계무대에서 중국이 확고히 서려면 기술적 자립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백악관은 이날 성명에서 다음 달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계획을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20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대중국 무역전쟁을 잠시 중단한다”고 선언한 지 9일 만이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오비이락? 이방카 中서 상표권 무더기 획득 직후 美, ZTE 제재 완화
입력 2018-05-29 19:18 수정 2018-05-29 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