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감 후보들, 진영논리 벗어나 정책으로 승부해야

입력 2018-05-28 05:05
6·13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의 후보 등록이 25일 마감됐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을 대표하는 교육감에 모두 61명의 후보가 나서서 3.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후보들은 26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교육감 선거는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누가 출마했는지조차 모르는 유권자가 대부분이다. 지난 선거에는 ‘무상 급식’ 등의 첨예한 정책 대결이라도 있었지만 올해 선거에는 이렇다 할 이슈가 없다. 역대급 ‘깜깜이 선거’다. 이렇게 된 데는 진영 논리에 함몰돼 지루한 공방을 이어나가는 후보자들 탓도 크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 공천 없이 치러진다. 헌법 제31조 4항에 명시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전문성, 자주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실제 선거운동에서는 정책이나 공약보다 진영 논리를 내세우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다 보니 일부 후보들은 특정 정치 세력과 연계하면서 사실상 정치 선거를 치른다. 운이 좋아 단일화가 성사되는 쪽이 당선되는 사례도 많았다. 2014년 선거에서 진보 진영이 단일화에 성공한 13곳에서 모두 당선자를 낸 것이 이를 입증한다. 이념이 선거에 개입하면 당선 이후에도 교육계 갈등과 분열은 계속된다. 그 피해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교육감 선거는 지역의 ‘교육 대통령’을 뽑는 중요한 일이다. 누리과정 예산 등 유·초·중등 교육과정 전반을 결정하는 자리가 교육감이다. 주민 생활에 영향을 주는 학교시설 개방 등도 맡고 있다. 유권자들이 교육 행정의 최고 책임자를 선택하는 일에 무관심해선 안 되는 이유다. 내 자녀의 장래가 걸린 교육 대계를 위한 선거라는 인식을 갖고 각 후보의 정책과 공약, 교육 철학, 가치관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후보자들은 진영 논리를 버리고 전문성을 입증할 정책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