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고위급회담 다시 추진”… 핫라인 통화는 미정

입력 2018-05-24 19:14

청와대가 ‘판문점 선언’ 후속 조치를 위한 남북 대화를 재추진하기로 했다. 북한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현했던 ‘맥스 선더’ 한·미 연합 공중훈련이 종료됐고, 북·미 간 사전 협상을 돕기 위한 한·미 정상회담도 마쳤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남북 관계를 잘 관리해 다음 달 12일 예고된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4일 “남북 고위급 회담이 이미 한 번 무산됐기 때문에 다시 한번 접촉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도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해 남북 간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고위급 회담 일정을 북한에 제안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 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가진 한·미 정상회담에서 “맥스 선더 훈련 종료일인 25일 이후부터 남북 대화가 재개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북한이 23일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현장에 남측 기자들의 방북을 허락한 것을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은 어떤 조건도 밝히지 않은 채 그동안 거부했던 남측 기자들의 방북을 갑자기 허락했다”며 “한·미 정상회담이나 북·미 간 협상과 별도로 이 문제를 다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북핵 협상과 상관없이 북한도 남북 대화 재개 의지를 보여줬다는 의미다.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가 국가정보원 산하 연구기관 자문위원직에서 사퇴한 것도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로 나올 명분이 될 수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6일 “천하의 쓰레기까지 국회 마당에 내세워 최고 존엄과 체제를 헐뜯고 있다”며 태 전 공사의 국회 강연을 맹비난했었다.

청와대는 다만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북·미 간 협상이 상당부분 진행된 뒤 통화가 이뤄지는 게 효과적이라고 본다. 북한 역시 대남·대미 라인이 모두 미국과의 협상에 투입된 만큼 남북 정상 통화를 준비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적절한 시점에 핫라인 통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북·미 정상회담을 중개할 수 있는 마지막 카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박4일간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이날 새벽 귀국한 문 대통령은 오후에 정상 출근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참모진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 결과와 북한 상황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열고 한·미 정상회담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