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산재 되풀이 않겠다” 포스코, 안전예산 1조 투입

입력 2018-05-24 21:14
오형수 포항제철소장(왼쪽 여섯 번째) 등 포스코 및 파트너사 임직원들이 지난 18일 포항 포스코 본사에서 안전실천 결의문에 서명한 뒤 중대재해 재발 방지를 다짐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안전 분야에 향후 3년간 1조1050억원을 투자하고 안전문제를 전담할 ‘컨트롤타워’도 만들기로 했다. 지난 1월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외주근로자 질식 사망사고를 계기로 글로벌 기업에 걸맞은 안전대책을 세우겠다는 취지다.

포스코는 지난 1월 포항제철소 내 산소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이후 전사적으로 안전점검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5453억원의 안전예산에 5597억원을 증액해 안전대책을 세우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추가 예산은 조직 신설과 인력 육성에 369억원, 밀폐공간 등 중대 재해가 일어날 수 있는 장소에 안전장치를 보완하는 데 5114억원, 외주사 교육과 감시인 배치 등을 지원하는 데 114억원을 배정했다.

포스코는 우선 기계, 화공 안전기술사 등 자격증을 보유한 안전보건전문가를 영입하고 관련학과 출신을 신규 채용하는 등 200여명의 안전 전담인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 안전업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안전전략사무국’을 본사에 신설해 외부 전문가를 사무국장으로 영입한다. 이밖에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스마트기술로 안전 수준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전방재부를 제철소장 직속의 ‘스마트안전그룹’으로 격상시킨다.

포스코는 작업 과정마다 안전조치도 강화한다. 밀폐공간에서 작업할 경우 가스 유입을 막는 차단판과 이중밸브를 설치하고 작업 전 드론을 이용한 가스검지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또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경우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2중 안전고리가 달린 안전벨트를 전 직원이 쓰도록 했다.

포스코는 재해 위험이 큰 외주사 전 직원에게도 자사의 안전보안시스템 접속 권한을 부여해 안전정보를 공유하고 외주사의 경영자와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또 제철소장과 노경협의회 위원, 외주사 사업주와 직원이 공동 참여하는 안전협의체를 구성해 매분기 총회, 매월 실무회의를 개최해 안전정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달 1일 창립 50주년 행사 당시 안전을 기업경영의 최우선으로 삼는 ‘신(新) 핵심가치’를 전 직원들에게 선포한 바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