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기회의 땅’인 아프리카의 국가들에 금융·교육 투자를 강화한다. 향후 2년간 50억 달러의 개발금융 협력을 약속한 데 이어 인적자본 개발에 1000만 달러를 보태기로 했다. 한국이 참여하는 ‘스마트 인프라’ 구축도 제안했다. 국가 차원의 투자를 통해 아프리카와의 산업 교류를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연차총회 개회사를 통해 “‘한강의 기적’과 같은 ‘사막의 기적’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운을 뗐다. AfDB는 올해 총회의 주제로 ‘아프리카의 산업화 촉진’을 내걸었다. 이날 진행한 고위급 회담에선 혁신기술 도입, 인적자본 개발, 재생에너지 투자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혁신기술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제안했다. 한국 기업이 케냐의 지능형 대중교통체계 개선사업에 참여했던 사례 등을 확대하자는 것이다. 개발에 필요한 금융지원을 병행키로 했다. 한국 정부는 앞서 22일 마무리된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에서 아프리카 산업화를 위해 2020년까지 50억 달러의 금융협력 패키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인적자본 육성과 관련한 투자 계획도 덧붙였다. 기재부는 1000만 달러 규모의 신탁기금을 설치해 아프리카 대학의 과학·기술 분야 인력 육성을 돕기로 했다.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에는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계기’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과 아프리카의 교역액은 2015년 기준으로 131억 달러에 불과하다. 같은 해 전체 교역액(9632억 달러)의 1.3%에 그친다. 중국의 대(對)아프리카 누적 투자액이 2015년에 1000억 달러를 돌파한 것과 대비된다. 김 부총리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한국의 기술력을 높이 사고 있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인프라 구축 협력 등 할 수 있는 것들을 차곡차곡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정부, 아프리카 산업화 지원 팔 걷었다
입력 2018-05-23 21:26 수정 2018-05-23 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