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는 금산분리 걸림돌… 공정위원장도 기존 방향 지지
분할·합병 비율 다시 조정 등 다양한 재추진 방안 거론 중
모비스를 先 인적분할하면 정의선 확보 지분은 줄 수도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주주총회 취소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잠정 중단함에 따라 기존 개편안을 어떻게 보완해 재추진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존 개편안에서 논란이 된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합병 비율 조정뿐 아니라 추가 주주환원책 제시, 현대모비스 선(先) 인적분할 등 다양한 방식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 21일 입장문을 통해 “다양한 견해와 고언을 겸허한 마음으로 검토해 충분히 반영하고, 지배구조 개편 방안을 보완해 개선하겠다”고 밝혀 이번 결정이 숨고르기 과정임을 명확히 했다. 당초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분할·합병을 시작으로 현대모비스를 최상위 지배회사로 두는 방안을 제시했었다. 향후 이를 수정하더라도 금산분리 걸림돌이 존재하는 지주회사 설립보다는 현재의 방향성을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안 저지에 앞장섰던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은 현대차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후 2년 이내에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을 매각하는 방안을 주장했었다.
반면 업계에서는 해외 자동차 업계들의 사례와 비교할 때 굳이 현대차만 금융 자회사 소유를 제한할 이유가 없다며 비판적 시각이 더 많았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도 공정거래법 위반을 근거로 현대차 측의 손을 들어줬던 만큼 큰 틀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엘리엇과 의결권 자문사들이 일관되게 지적한 ‘현대모비스에 불리한 분할·합병’이라는 비판을 어떤 방식으로든 상쇄할 필요가 있다. 분할·합병 비율을 변경한다거나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 3사 동시 분할 합병을 통해 추후 현대글로비스 합병을 진행하는 방안, 추가 주주환원책 제시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현대모비스의 모듈 및 AS·부품 사업의 인적분할을 선행하는 방법은 유력한 선택지 중 하나다. 인적분할은 기존 주주들이 신설회사 주식을 지분율대로 나눠 갖는 방식을 의미한다. 현대모비스를 우선 분할한 뒤 시장 거래가를 기반으로 현대글로비스 합병을 재추진할 경우 분할·합병 비율과 관련한 논란을 차단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지배구조 개편이 경영권 승계 작업 성격도 지닌다는 점에서 걸림돌은 존재한다. 인적분할 추진시 정의선 부회장이 확보할 수 있는 현대모비스 지분이 상장 후 주가 상황에 따라 다소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한편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드러났듯 엘리엇 등 행동주의 펀드들이 아시아에서 영향을 급속히 키우고 있어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JP모건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기업을 겨냥해 벌인 조직적 활동은 총 662건으로 집계돼 6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아시아 기업을 겨냥한 활동이 미국 외 활동(344건)의 31%에 달하는 106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10건에서 불과 6년 만에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현대차 ‘지배회사’ 골격 유지… 모비스는 先 분할·상장?
입력 2018-05-23 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