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출발을 다짐했던 대구시립희망원(이하 희망원)이 1년여 만에 다시 파행을 겪고 있다. 희망원을 수탁한 전석복지재단이 대구시의 불통 등을 문제 삼으며 운영권을 반납하겠다고 통보하면서 희망원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20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희망원을 수탁한 전석재단은 지난 16일 운영권 반납 의사를 시에 통보했다. 재단 측은 그동안 시에 인력충원과 거주환경 개선 예산, 고용 안정을 위한 급여체계 개선 등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또 지도점검 등에서 나타난 시의 강압적인 태도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전석재단 관계자는 “그동안 거주인들의 인권과 안전, 직원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행정적 지원을 요청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며 “시의 적극적 지원과 협조는 고사하고 희망원의 안정화를 위한 소통도 어려웠다”고 밝혔다.
운영권 반납 사태의 도화선이 된 것은 전석재단과 지역 언론의 마찰이다. 최근 지역 한 언론이 재단 운영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게재하자 전석재단 측은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기사라며 반발했고 재단 측과 해당 언론사가 진실 공방을 벌이는 상황으로까지 번졌다. 여기에 일부 시민단체들도 가세해 전석재단에 대한 비판 성명을 쏟아내며 재단과 각을 세웠다.
시 내부에서는 ‘운영권 반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바로 운영권을 돌려받는 방법과 대구시가 직영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될 때까지 전석재단의 운영을 연장하는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라며 “앞서 전석재단을 수탁자로 선정할 때 3년 민간위탁 운영 뒤 시가 직영할 방침이었기 때문에 새 수탁자를 뽑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노숙인과 장애인 거주시설인 희망원은 1968년 대구시가 설립해 직영으로 운영하다 1980년부터 천주교 관련 기관이 수탁해 운영했다. 하지만 2016년 인권유린·비리사태가 불거져 희망원 운영 관계자들이 줄줄이 처벌을 받으면서 운영권을 반납했다. 이에 시는 새 수탁자를 모집했고 지난해 5월 전석재단이 수탁자로 선정됐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운영권 반납”… 대구시립희망원 다시 파행
입력 2018-05-20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