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회적참사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회는 17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긴급 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범정부적인 종합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안종주 특조위 위원은 “(이번 사태는) 국가적 위기, 준재난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라고 말했다. 박경북 김포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원안위뿐 아니라 라돈 전문기관과 협력해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라돈 침대의 위해성에 대해 진영우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장기간 다량 노출된 이들은 폐암 발병이 우려된다”며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질병에 대해선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진침대 사용자들도 이 자리에서 불안을 토로했다. 2013년부터 대진침대 매트리스를 사용한 배모(34·여)씨는 “방사선 노출이 걱정돼 대학병원 간호사로 일하다 그만뒀는데 이런 일이 생길 줄은 몰랐다”며 “뉴스를 보고 모유 수유도 끊었는데 아이는 침대에서 먹고 자고 놀았다”며 눈물을 흘렸다.
2010년 결혼하는 딸의 혼수로 침대를 구입했다는 이모(60·여)씨는 “딸이 갑상선 항진증으로 치료 중이고 손녀도 5살까지 항생제를 달고 살았다”며 “매트리스를 빨리 수거해 달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매트리스 및 사업장 실태조사와 침대류 등 공산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조위는 이번 사태를 일으킨 제도적 문제점을 찾아 개선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특별조사위 “라돈 침대 사태는 국가적 위기·준재난”
입력 2018-05-17 22:18 수정 2018-05-17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