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직선제 속속 부활… 대학마다 “학생도 투표” 갈등

입력 2018-05-18 05:05

전북대, 학생참여 배제 마찰 원광대, 학생비율 10% 요구
0.03% 차로 1위 낙점 상황… 최대 13%의 학생 비율은 결정적 변수 작용 ‘신경전’


전국 대학에서 총장 직선제가 속속 부활하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의 투표 참여 여부와 반영 비율을 놓고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한 대학에선 학생들의 표심이 총장 선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7일 전북대에 따르면 오는 가을에 치러지는 총장 선거에서 학생들의 참여 여부를 두고 교수회와 총학생회가 갈등을 빚고 있다. 8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지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교수회가 학생들의 참여를 배제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총학생회가 반발해 교수회의실을 점거한 것이다.

박진 전북대 총학생회장은 “대학의 대표를 선출하는데 학생과 교직원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이 마땅하다”며 “그동안 교수회 위주로 진행된 총장 선거 투표권을 대학 구성원 모두에게 나눠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수회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오는 25일까지 학생들을 총장 선거 투표에 참여시킬지 여부를 묻기로 했다.

원광대에서도 교수협의회가 총장 선거의 학생 투표 반영 비율을 7.5%로 잡은 것으로 알려져 총학생회가 최소 10%로 올려 달라며 반발하고 있다. 학생들은 최근 학생회관 앞에서 집회를 연 데 이어 김도종 총장과 이사회 상임이사를 만나 재학생 7300여명의 서명을 전달했다.

교수협의회는 16일 정기총회에서 구성원들을 통한 총장 선거를 실시해 1, 2위를 재단 이사회에 올리기로 하고, 투표 반영 비율은 전임교원 81%, 직원 10%, 학생 7.5%, 동문 1%, 조교 및 대학발령 연구원 0.5%로 결정했다. 교수협은 이 방안을 놓고 앞으로 각 구성원들과 논의해 최종 확정한 뒤 이사회에 건의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0일 열린 서울대 총장 선거에서는 학생 투표 반영 비율이 9.5%로 환산돼 적용됐다. 광주교대는 교수 73%, 직원 14%, 학생 13%로 반영 비율을 결정해 지난 3월 직선제를 치렀다. 이달 30일 첫 직선 총장을 뽑는 성신여대는 학생 9% 비율을 적용키로 했다.

최대 13%에 이르는 학생 투표 반영 비율은 각 대학 총장 선거에서 변수가 되고 있다. 지난 3월 실시된 광주교대 선거에서는 1, 2순위자의 득표 수 차이는 0.88%에 불과했다. 지난해 12월 목포대 선거에서는 0.03% 차로 1순위 후보자가 가려졌다. 같은 달 실시된 전주교대 선거에서의 1, 2위 격차는 2.02%였다. 한편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준비위원회는 지난달 28일 ‘학생 참여 총장직선제 운동본부’를 발족하고 국립·사립대 총장 선출 과정에서 학생 목소리가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