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출범

입력 2018-05-17 22:36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이 17일 강원도 춘천 베어스호텔에서 창립총회를 가졌다. 강원도 제공

강원도내 열악한 노동·고용·경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사·민·정 협력체인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이 창립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강원도는 17일 오전 춘천 베어스호텔에서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창립 이사회 및 조합원 총회를 열고 임원 선출과 근로자 조합원 2573명의 가입을 승인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이사장을 맡고, 김임형 한국노총 강원도지역본부 의장과 박동언 강원도경영자총협회 회장, 이남규 강원신용보증재단 이사장 등 이사 8명과 감사 1명을 선출했다.

앞서 강원도는 지난 3월 공제조합 설립 발기인 총회 등을 거쳐 고용노동부로부터 공제조합 설립 허가를 받았다. 4월에는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설립 및 지원조례’가 공포, 시행됐다.

공제조합은 타 지역에 비해 낮은 임금 수준에서 비롯된 잦은 이직과 핵심인력 역외 유출, 이에 따른 경영 악화와 일자리 감소 등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만들어졌다. 도내 기업에서 핵심인력 퇴사 시 대체인력 양성비용으로 1인당 4607만원이 소요되고, 근로자 1명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면 연간 4415만원의 경제력이 유출된다는 게 강원도의 분석이다.

공제조합은 5년 이내에 회원 10만명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운영재원은 공제운용 수익금과 회원출자금(회비), 강원도 보조금 등으로 충당한 2000억원의 적립금이 기반이다. 강원신용보증재단이 공제사업을 위탁 운영하며, 대출금리 및 보증료 인하, 보증심사 완화 등 연계사업도 추진한다.

공제조합은 도내 93.3%를 차지하는 근로자 10인 이하 기업이 단독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퇴직연금사업 등 공제적립금 확대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또 재해보험, 조합원 상해보험, 상조, 재해부조 등 복지사업은 물론 직무·소양교육, 국내·외 기술연수 등 교육복지사업 등으로 점차 사업을 넓혀 갈 방침이다.

최 지사는 “공제조합이 운영되면 도내 근로자들의 실질소득 향상과 장기 재직, 근로자복지 개선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노동정책의 모범이 되는 모델로 조기에 자리 잡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