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내 열악한 노동·고용·경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사·민·정 협력체인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이 창립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강원도는 17일 오전 춘천 베어스호텔에서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창립 이사회 및 조합원 총회를 열고 임원 선출과 근로자 조합원 2573명의 가입을 승인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이사장을 맡고, 김임형 한국노총 강원도지역본부 의장과 박동언 강원도경영자총협회 회장, 이남규 강원신용보증재단 이사장 등 이사 8명과 감사 1명을 선출했다.
앞서 강원도는 지난 3월 공제조합 설립 발기인 총회 등을 거쳐 고용노동부로부터 공제조합 설립 허가를 받았다. 4월에는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설립 및 지원조례’가 공포, 시행됐다.
공제조합은 타 지역에 비해 낮은 임금 수준에서 비롯된 잦은 이직과 핵심인력 역외 유출, 이에 따른 경영 악화와 일자리 감소 등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만들어졌다. 도내 기업에서 핵심인력 퇴사 시 대체인력 양성비용으로 1인당 4607만원이 소요되고, 근로자 1명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면 연간 4415만원의 경제력이 유출된다는 게 강원도의 분석이다.
공제조합은 5년 이내에 회원 10만명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운영재원은 공제운용 수익금과 회원출자금(회비), 강원도 보조금 등으로 충당한 2000억원의 적립금이 기반이다. 강원신용보증재단이 공제사업을 위탁 운영하며, 대출금리 및 보증료 인하, 보증심사 완화 등 연계사업도 추진한다.
공제조합은 도내 93.3%를 차지하는 근로자 10인 이하 기업이 단독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퇴직연금사업 등 공제적립금 확대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또 재해보험, 조합원 상해보험, 상조, 재해부조 등 복지사업은 물론 직무·소양교육, 국내·외 기술연수 등 교육복지사업 등으로 점차 사업을 넓혀 갈 방침이다.
최 지사는 “공제조합이 운영되면 도내 근로자들의 실질소득 향상과 장기 재직, 근로자복지 개선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노동정책의 모범이 되는 모델로 조기에 자리 잡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출범
입력 2018-05-17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