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음이온 제품 18만개 조사해야”… 라돈침대 사태 일파만파

입력 2018-05-16 21:58
라돈이 검출된 침대 매트리스를 앞에 두고 환경보건시민센터 회원들이 16일 서울 중구 서소문로 환경재단에서 정부의 특별감사와 전수조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최현규 기자

모나자이트 제품 전체로 확산… 원안위, 전수조사 수년 걸릴 듯
“특허 주고 친환경 마크 달아준 식약처 등 책임이 더 커” … 특조위, 17일 긴급 점검회의


‘라돈침대’ 사태가 음이온 제품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대진침대의 피폭선량이 기준치보다 최고 9.3배나 된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발표가 나온 직후 시민단체는 18만개 음이온 제품을 전수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음이온 제품을 조사하는 데만 수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소비자 불안감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16일 발표한 성명에서 “라돈침대 사태는 대진침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생활전반에 퍼져 있는 음이온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다”며 “음이온제품 18만개에 대한 전반적 실태조사와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가 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18만개의 제품은 특허청에서 특허를 내준 팬티·생리대·소금·화장품·마스크·정수기 등 생활 밀착형 음이온 제품이다. 2014년 1월 원자력안전기술원이 발표한 음이온 가공제품 대상 조사에서는 코 마스크, 모자, 베개 등에서 모나자이트와 토르마린 등이 원료물질로 사용돼 토륨과 우라늄 등 방사성물질 검출이 확인된 바 있다.

문제는 전수조사를 하더라도 결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조사 인력도 과장을 포함해 5명뿐이다. 시민단체는 조사 결과를 기다리기보다 소비자들이 알아서 음이온 제품 사용을 자제하는 방법밖엔 없다고 설명한다.

원안위도 이날 “대진침대 조사가 끝나면 모나자이트의 유통 상황을 파악해 이 물질을 사용한 생활밀착형 제품들을 조사한다”며 “생활방사선 안전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건축자재 등은 관계부처와 협업해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음이온 방출 제품의 성분에 대해서도 관련 부처와 협의해 조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라돈침대 사태에 대처하는 정부의 태도에 문제가 많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성급한 중간발표로 혼란을 가중시킨 원안위도 문제지만 음이온 제품에 특허를 주고 친환경 마크를 달아준 식품의약품안전처나 환경부, 산업부 등의 책임이 더 크다는 것이다. 특허청은 물론 식약처, 환경부 등도 천연방사성핵종을 이용한 음이온 제품을 건강기능성 제품으로 특허를 내줬다. 관련 부처들이 전면적인 실태조사는 물론 피해자들에 대한 건강피해조사와 시민 안전가이드라인 제시 등 비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17일 ‘라돈 방사성 침대’ 문제와 관련해 긴급 현안점검회의를 열기로 했다. 회의에는 원안위와 환경부, 산업부, 한국소비자원 등 관련 부처 정책 담당자와 대진침대 관계자가 참석한다. 특조위 안전소위는 이들로부터 부처별 대응 현황과 향후 대책을 보고받고 피해 해결과 방사성 물질 안전 관리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