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ISS 반대는 국내 법규 이해 못한 심각한 오류”

입력 2018-05-17 05:05
현대자동차그룹 사옥.

“시장 호도하는 편향된 의견… 모비스 주주들에 되레 이익”
국민연금 선택이 승패 좌우… 대신지배구조硏도 반대
상장사協 등도 지원 사격 “경영 방어 장치 도입 시급”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주주들의 반대를 권고한 세계적인 의결권 자문사 ISS의 보고서에 대해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에 이어 ISS 등 자문사들이 서로 짜고 친 듯이 이의를 제기하자 “국내 법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편향된 의견”이라고 일축했다. 결국 오는 29일 현대모비스 주주총회에서 국민연금이 누구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16일 입장문을 통해 “ISS의 반대 결정이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시장을 호도하고 있어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ISS가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안이 현대모비스 주주들에게 불리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오히려 이익이 될 것이 확실하다”고 반박했다. 분할합병 비율 1대 0.61에 따라 기존 모비스 주식 100주를 가진 주주의 경우 모비스 주식 79주와 글로비스 주식 61주를 함께 받게 되기 때문에 현재 주가로만 계산해도 이득이라는 설명이다.

분할합병 비율과 관련, 모비스의 가치가 저평가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합병가치 비율은 양사의 이익창출 능력 및 현금창출 능력 비율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장에서 평가한 가치비율과도 유사하다”고 반박했다. 이어 “평가방식에서 법령상 요건을 모두 충족했고, 국내 시장 관행을 철저히 준수했다”면서 정부 당국에서도 아무런 문제 제기가 없었음을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국내 의결권 자문기관인 대신지배구조연구소도 절차상 문제를 들어 분할합병 안건에 반대의견을 권고하는 등 반대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국내 자문사가 반대의견을 낸 것은 서스틴베스트에 이어 두 번째다.

엘리엇 등 해외 투기자본의 국내 기업 경영권 위협이 가시화되자 한국상장사협의회와 코스닥협회가 ‘경영권 방어 장치’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두 협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장사들이 지속 가능성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자발적으로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있지만 일부 행동주의 펀드가 심각하게 경영을 간섭하고 경영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차등의결권이나 포이즌 필(Poison Pill) 등 주요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운용하는 경영권 방어수단을 우리 기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미국 스타트업 ‘메타웨이브’에 투자해 자율주행차 기술의 ‘눈’에 해당하는 첨단레이더 기술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미국판 ‘모빌아이’로 불리며 급성장 중인 메타웨이브는 2017년 실리콘밸리에 설립돼 자율주행차용 레이더와 인공지능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레이더는 카메라, 라이다와 함께 자율주행차 센싱 기술의 핵심 요소다. 메타웨이브는 정확도와 사물인지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차세대 레이더를 개발 중이다.

현대차는 현대모비스, 현대오트론 등 계열사들을 적극 참여시켜 미래기술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정건희 김찬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