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보좌관 돈 주라고 드루킹이 지시”… 진술 확보
원희룡 제주지사 예비후보 ‘제주판 드루킹 의혹’ 고발
김동원(49·닉네임 드루킹)씨 일당이 국내 3대 포털사이트인 다음과 네이트에서도 댓글 조작을 한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자료보존 조치에 나섰다.
서울경찰청은 다음·네이트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지난주 집행했다고 14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댓글 조작을 한 것으로 의심되는 9만여건의 기사 주소(URL) 중 다음과 네이트의 기사 댓글도 있었다”며 “자료 보존 조치를 위해 두 회사를 압수수색했다”고 말했다. 김씨 일당이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 등 포털사이트 전반에서 댓글 순위 조작 작업을 벌인 셈이다. 이 관계자는 “네이버에도 지난 10일 추가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해 대선 전 댓글 조작이 의심되는 URL 1만9000여건과 관련된 자료 보존 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김씨 일당이 지난 1월 17·18일 이틀간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 아이디 2200여개를 이용해 기사 676건의 댓글 2만여개의 추천수를 매크로로 조작한 사실을 확인하고 업무방해 혐의로 검찰에 추가 송치했다. 김씨는 최근 조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김씨가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한모(49) 전 보좌관에게 500만원을 건네라고 측근에게 지시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경찰은 김씨 측근 김모(49·닉네임 성원)씨와 다른 김모(49·닉네임 파로스)씨에게서 “드루킹 지시로 500만원을 준비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경찰 관계자는 “500만원 수수에 대해서는 드루킹 김씨와 다른 피의자의 진술이 일치했다”며 “인사청탁 등 민원을 하기 위해 줬다는 것도 시인했다”고 말했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원희룡 제주지사 예비후보(무소속) 측은 ‘제주판 드루킹 의혹’ 사건을 검찰에 고발했다. 원 후보 측은 문대림 민주당 예비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한 특정 기사가 다음, 네이버 등 포털에 게재된 뒤 약 3시간 사이 특정 댓글에 추천이 집중되고 이후 해당 기사가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 순위 1위에 오르는 등 유사한 댓글 추천 패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손재호 조민영 기자sayho@kmib.co.kr
다음·네이트 압수수색에 ‘제주판 드루킹’까지… 끝나지 않는 댓글 파문
입력 2018-05-14 21:23 수정 2018-05-14 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