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토착·재건축 비리… 靑 적폐청산 ‘권력형→생활형’ 확대

입력 2018-05-14 05:03

청와대가 ‘권력형 적폐’뿐 아니라 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갑질 등 ‘생활형 적폐’ 청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13일 문재인정부 출범 1주년용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년간 권력의 전횡으로 인한 적폐청산에 주력했다”며 “앞으로 민생과 직결된 영역에서 벌어지는 생활적폐 청산으로 영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채용·학사비리, 토착비리, 공적자금 부정수급, 재개발·재건축 비리, 불공정·갑질행위 등의 생활적폐를 근절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1년 동안 권력형 적폐청산의 일환으로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분야별 진상조사를 진행해 왔다. 문화체육관광부(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 교육부(국정교과서) 등이 참여했다. 정부 27개 부처는 지난해 7월 이후 자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국정농단 이외의 적폐청산 활동도 벌였다. ‘군 적폐청산위원회’를 만들어 장성급 장교의 성폭력 사건 재조사를 결정한 국방부가 대표적이다.

청와대는 적폐청산의 성과를 제도 개선으로 이어가는 한편, 권력형 적폐청산 백서를 발간해 재발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적폐청산과 관련해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부족함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신발끈을 조인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