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만난 정치테마주 작전세력… 금감원 ‘실시간 감시’ 돌입

입력 2018-05-11 05:05

주식시장에서 정치테마주로 분류되는 A사의 관계자 B씨는 최근 A사 주식 1만주를 사들였다. 이날 그는 3분 동안 다른 계좌로 A사 주식을 1주씩 250회나 사고팔기를 반복했다. 거래가 활발해지는 것처럼 보이자 매수세가 몰렸고 주가는 올랐다. B씨는 3분 전에 사들였던 1만주를 매도해 차익을 얻었다.

금융감독원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10일부터 정치테마주 감시에 돌입했다. 지방선거일까지를 정치테마주 집중 제보 기간으로 운영하고 제보자에게 최고 20억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특히 B씨처럼 정치테마주 과열을 이용해 시세를 조종하는 불공정거래가 발생하는지 면밀하게 들여다볼 방침이다. 이달 초에 구축한 ‘테마주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불공정거래를 잡아낼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테마주 간 또는 테마주와 시장 간 지표를 비교·분석해 과열된 테마주를 자동으로 선별한다. 금감원은 필요하면 긴급조치를 내려 검찰에 즉시 불공정거래 사건을 넘길 예정이다.

앞서 금감원은 테마주 전담팀을 신설해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175개 종목을 조사했다. 불공정거래 혐의로 102명을 적발해 검찰에 고발하거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들이 취한 부당이득은 965억원에 달한다.

또 금감원은 ‘바이오주’ ‘남북경협주’ ‘암호화폐(가상화폐) 관련주’를 대상으로 불공정거래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조효제 금감원 부원장보는 “최근 일부 제약·바이오업체들이 신약개발이나 임상실험 관련 공시를 투명하게 하지 않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조해 관련 공시가 진짜인지 확인하는 등 감시망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불공정거래 조사 초기 단계에서 신속하게 증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현장조사권(사업장에서 장부·서류 등 증거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을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건의할 예정이다. 디지털 포렌식(휴대전화 등 디지털 기기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찾는 수사기법) 장비도 갖춘다. 압수수색과 통신기록 조회 등이 가능하도록 금감원 직원을 특별사법경찰로 지명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