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판’은 개별 언론사가 편집권을 가진다고 하지만
인링크 방식으로 운영돼 댓글 폐단 없애진 못할 듯
‘드루킹 사태’로 비판받자 고육책 내놓은 것에 불과
네이버가 뉴스 편집권을 내려놓겠다고 선언한 것은 ‘드루킹 사태’에 연루돼 ‘여론조작의 숙주’로 비판받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강수로 평가된다. 자사 수익에 큰 기여를 하는 뉴스 서비스의 편집 권한까지 포기하면서 회사가 받을 타격을 줄이려는 고육책이다. 그러나 이번 대책으로 포털이 장악하고 있는 뉴스 소비시장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바뀔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네이버는 2000년 뉴스 서비스를 개시했고 다음 해 메인 화면에 뉴스를 올리기 시작했다. 2004년 뉴스 댓글 기능이 도입됐고 2007년 댓글에 공감과 비공감을 누르는 기능이 생겼다.
이 기간 한국 언론계와 뉴스 소비자들의 포털 종속 현상은 심화됐다. 이른바 포털에 걸린 소수의 뉴스만 집중적으로 소비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한국 뉴스 이용자들의 포털 의존 비율은 77%로 파악된다. 특히 네이버는 포털 시장에서 점유율 75% 안팎으로 추정되는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사업자다. 네이버에 가입한 회원은 약 4200만명, 네이버 모바일에 접속하는 하루 이용자는 약 3000만명이다. 수천만의 사람들이 네이버라는 특정 회사가 선택한 같은 뉴스를 동시에 본다는 의미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는 특정 이슈와 뉴스에 이용자들이 몰리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를 악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졌다. 2012년 국가정보원에 의한 댓글 조작 및 대선 개입 파문이 불거졌다. 지난해에는 네이버가 청탁을 받고 뉴스 편집 순서를 바꾼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실시간 검색어가 조작되고 있다는 의혹은 수시로 제기된다. 급기야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이 터지자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나서 뉴스 편집을 더 이상 안 하겠다고 선언했고,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빼겠다고 했다.
그러나 포털에서 기사를 선택하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넘어가 기사를 보게 하는 ‘아웃링크’ 방식의 일괄 적용에 대해선 네이버가 난색을 표했다. 한 대표는 원하는 언론사에 한해 아웃링크를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신설되는 ‘뉴스판’은 각 언론사가 편집권을 가진다고는 하지만 인링크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기존 댓글의 폐단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또 뉴스판에 뉴스가 노출되는 것을 포기하면서까지 현실적으로 개별 언론사가 아웃링크 전환을 결정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표가 언급한 ‘구글식 아웃링크 도입의 적극 추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은 네이버의 이날 대책에 대해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혹평했다. 김 의원은 입장 자료를 내고 “네이버의 장악력이 유지되는 한 아웃링크를 채택할 언론사는 없을 것”이라며 “전면적으로 아웃링크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
☞
☞
☞
☞
☞
포털이 장악한 뉴스 소비시장, 구조 바뀔지 의문
입력 2018-05-10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