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9일 발표한 2차 뉴스·댓글 서비스 개선 방안은 미봉책에 불과하다. 네이버는 3분기 중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배제하고 두 번째 화면에서 언론사들이 직접 편집한 ‘뉴스판’을 신설하기로 했다. 댓글 허용 여부나 정렬 기준 등도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했다. 사용자 개인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 ‘뉴스피드판’도 신설해 인공지능(AI) 추천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네이버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뉴스유통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자 겉으로는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뉴스 장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언론사가 아니라면서 수백개 언론사들이 발품 팔아 취재한 기사들을 이용해 사업하겠다는 근본 생각부터 접어야 한다. 네이버는 3000만명이 이용한다. 편집이나 댓글 기능을 언론사에 넘긴다고 하지만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를 계속하는 한 미디어 영향력은 크게 달라질 게 없다. 구글처럼 뉴스를 클릭하면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아웃링크를 도입하겠다는 것도 말장난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일괄적인 아웃링크 도입은 어렵지만 언론사와의 개별 협의를 통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지난달 말 인링크(네이버 안에서의 뉴스 소비) 제휴를 맺고 있는 124개 언론사에 아웃링크 도입 설문조사를 했더니 찬성한 곳이 1곳밖에 없었다는 자신감의 발로다. 독자적인 온라인 플랫폼이 취약한 대다수 언론사들이 아웃링크를 선택하면 전재료를 끊겠다는 압박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선택한 결과다. 구글처럼 전면적인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하지 않으면 네이버의 뉴스 독점 구조를 분산하기 어렵고 제2의 드루킹 사건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구글은 8일(현지시간) 미용실을 예약하고 레스토랑에 전화해 피자 배달을 시키는 등 더 영리해지고 더 지속적인 대화가 가능한 AI 비서 플랫폼을 선보였다. 검색 서비스로 시작한 구글은 AI, 빅데이터, 자율주행차 등 원천기술에 투자해 미래 기업으로 진화해 가고 있다. 뉴스를 무기로 온라인 골목상권을 침해하며 갑질을 일삼는 네이버와 비교된다. 네이버에 더 이상 자정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 그렇다면 정부와 국회가 나서는 수밖에 없다.
☞
☞
☞
☞
☞
☞
[사설] 네이버, 뉴스 장사 미련 버리고 미래 사업에 집중하라
입력 2018-05-10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