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차의 핵심 표시장치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클러스터(주행정보 계기판·사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디지털 클러스터 양산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시대에 최적화된 차세대 콕핏(운전석 조작부 일체)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7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지털 클러스터를 양산해 현대자동차 코나 EV(전기차)에 첫 적용한다고 9일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첫 양산한 7인치 디지털 클러스터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표준 플랫폼 ‘오토사(AUTOSAR)’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고해상도(1280×720)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시인성을 높이고 중앙처리장치(CPU) 소프트웨어를 독자개발해 핵심기술 자립도를 높였다. 이로써 현대모비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SVM),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등과 함께 인포테인먼트(인포메이션과 엔터테인먼트의 합성어) 4대 핵심부품 독자기술을 모두 확보했다.
현대모비스는 2015년 12.3인치 대형 클러스터 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3년 만에 7인치 클러스터 양산에도 성공했다. 앞으로 12.3인치 듀얼 화면 클러스터, 3D 입체형 클러스터 등을 개발하고 2020년까지 12.3인치 클러스터를 양산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현대·기아차는 그동안 컨티넨탈, 덴소 등 해외 유명 자동차 부품업체의 디지털 클러스터를 써 왔다. 하지만 현대모비스가 7인치 디지털 클러스터를 개발하면서 현대차 그룹 내에서 자체 조달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대모비스가 디지털 클러스터 시장에 진출한 것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정보통신기술(ICT) 부품을 집중 육성해 자율주행차와 커넥티비티카 등 미래차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서다. 자율주행 시대에는 기존 아날로그 방식 대신 ICT 기술을 이용해 여러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클러스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업체는 물론 IT 업체들까지 디지털 클러스터 시장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HS 마킷은 전체 클러스터 시장 규모가 2016년 7조5000억원에서 2023년 약 11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약 81%(약 9조원)에 디지털 클러스터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현대모비스, 7인치 디지털 클러스터 첫 양산
입력 2018-05-09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