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의 중재외교가 빛을 발해야 하는 이유

입력 2018-05-10 05:03
한반도 정세가 숨 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0여일 만에 또다시 중국을 방문,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데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역시 평양을 다시 찾아 김 위원장과 대좌했다. 그 시각 한·중·일 3국 정상은 도쿄에서 열린 제7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판문점 선언을 지지하는 특별성명을 채택했다. 4·27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해 당사국들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발걸음을 차근차근 내딛고 있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김 위원장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것은 긍정적 요소다. 한반도 비핵화 의지가 없다면 김 위원장이 시 주석을 또 만날 이유도, 폼페이오 장관이 다시 평양에 들어갈 까닭이 없다. 김 위원장은 북·중 정상회담에서 “북·미 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를 쌓아가며 단계적이고 동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직 북핵 일괄 타결을 희망하는 미국 측 입장과는 궤를 달리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비핵화 의지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여기까지 오는데 정부의 중재외교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조마조마한 것 또한 사실이다. 열기 힘든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어서다. 한반도 비핵화는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 김 위원장은 파격적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즉흥적이다. 두 정상의 성격상 회담 결과를 예상하는 게 쉽지 않다.

지금은 이런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데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때다. 북한에는 비핵화가 가져올 평화와 번영을, 미국에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확인한 북한의 진정성을 끊임없이 설득해야 한다. 그래야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2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다. 그 내용을 보면 북·미 정상회담의 결과 예상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을 어떻게 각인시키느냐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 성패가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