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 울산본부와 ‘고효율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제조시설과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생성물질인 황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을 초기 단계부터 최종 굴뚝 배출 단계까지 최대한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달 중 사업에 착수해 2019년 12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에 따라 울산시와 생기원이 공동으로 기획했다. 정부의 미세먼지 총량제 규제(배출허용기준 30% 강화)가 실시되면 울산과 부산, 경남을 포함한 동남권에서만 연간 1206억원의 배출부과금이 기업에 부과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게 현실이다. 문제는 현재 최고 수준의 배출저감 기술을 산업현장에 적용한다고 해도 정부의 강화되는 규정을 맞추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시는 중소형 사업장 LNG 보일러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저감을 기술개발의 핵심 목표로 세웠다. 최적의 버너를 개발해 연소실 후단에서 질소산화물 농도를 15ppm 이하로 낮추고, 광범위 온도에서 반응하는 촉매를 개발해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착수
입력 2018-05-09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