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1년] 전쟁위기서 비핵화·평화체제로… 한반도 ‘화해의 운전’

입력 2018-05-09 05:01

문재인정부 출범 1년 동안 남북 관계는 전쟁 위기에서 화해 분위기로 급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이 천명한 ‘한반도 운전자론’을 뚝심 있게 밀어붙였다. 결국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을 받아낼 수 있었다.

문 대통령 취임 초기 남북 관계는 요동쳤다. 북한은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며 한반도의 긴장감을 키웠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계속된 도발에도 지난해 7월 독일에서 한반도 평화 구상을 담은 ‘베를린 구상’을 발표했다.

북·미 갈등이 커지면서 한반도 전쟁 위기가 고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8월 “(북한은) 화염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경고에도 북한은 9월 6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한 우려가 커졌지만 문재인정부는 일관된 입장이었다. 6차 핵실험 이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등을 제안했다.

올해 들어 상황이 급반전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남북 대화 용의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환영 입장을 내놨고, 남북은 고위급 회담을 열었다. 2월 평창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문 대통령을 만나 김 위원장 친서를 전달했다.

문재인정부는 남북 화해무드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3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단장으로 한 대북 특사단이 평양을 방문해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역사적인 첫 만남을 하고 ‘완전한 비핵화’가 포함된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