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노조 와해 공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삼성그룹의 노조 대응 컨트롤타워인 삼성전자서비스 종합상황실 핵심 임원을 8일 불러 조사했다. 본사 임원에 대한 첫 공개 소환으로 검찰 수사가 윗선으로 확대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는 최모 삼성전자서비스 전무를 노동조합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최 전무는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직원들로 구성된 노조가 설립된 2013년 이후 종합상황실 실장 등으로 일하면서 노조 와해를 뜻하는 이른바 ‘그린화 작업’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삼성 다른 계열사에서 인사·노무 담당 업무를 하다가 2010년부터 삼성전자서비스 인사팀장·상생운영팀장을 맡았다. 구속영장이 청구됐던 윤모 상무의 직속상관이기도 하다.
검찰은 삼성전자서비스가 노무 분야 베테랑인 최 전무를 앞세워 노조 탄압 작업을 구체적으로 기획하고 실행한 것으로 본다. 사측은 이를 위해 기존에 없던 전무 직위도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최 전무가 해운대센터 등의 위장폐업에 관여하고, 노조원을 상대로 표적감사를 벌이거나 금품을 동원해 노조를 매수·회유하는 과정에도 개입한 정황을 포착한 상태다.
검찰은 최 전무가 삼성전자서비스의 실질적 2인자로 있으면서 모회사인 삼성전자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 것으로도 의심한다. 검찰 관계자는 “(최 전무가) 맨 윗선은 아니지만 실무 총괄 책임자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최 전무는 노조 와해 작업의 핵심 책임자로 지목됐지만 노조 측에는 철저히 자신의 존재를 가렸다고 한다. 그간 노사 협상 테이블에 최 전무가 모습을 드러낸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 지난달에야 최 전무를 처음 봤다고 노조 관계자는 전했다.
검찰은 최근 삼성전자서비스 영등포센터 직원들도 불러 사측이 수백만원씩의 금품을 전달하며 노조에서 탈퇴하도록 회유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영등포센터 대표 송모씨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다. 검찰은 본사 차원의 탈퇴 매수 행위가 있었는지도 확인 중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삼성 노조 와해 주도’ 임원 첫 공개 소환
입력 2018-05-08 18:52 수정 2018-05-08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