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간정보의 밑바탕인 국가기본도의 제작방식을 사용자 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 드론과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해 터널이나 빌딩숲 등 위성수신 취약 지역에서도 정밀한 위치서비스를 제공한다.
국토교통부는 8일 김현미 장관 주재로 열린 국가공간정보위원회에서 향후 5년간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8∼2022년)’을 확정·발표했다.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한다.
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공간정보 융복합 르네상스로 살기 좋고 풍요로운 스마트코리아 실현’을 비전으로 4대 추진전략 및 12개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현재는 도엽단위, 정기갱신(2년) 위주로 국가기본도를 만들었지만 앞으로는 객체 중심, 수시 갱신 체계로 개편한다. 또 건물·도로·철도 등 객체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정밀한 위치파악 시스템도 구축한다. 터널이나 빌딩숲 등 위성신호 수신이 취약한 지역에서 시공간의 끊김 없는 위치기준체계를 만든다. 자율주행차, 드론 등 위치기반 신산업에 안정적인 고정밀 위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공간정보 수요에 대한 주기적 조사와 활용 모니터링을 통해 원하는 공간정보의 내용과 형식을 파악하고 개인정보도 비식별화를 통해 개방한다. 또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 맞춤형 인재양성을 확대하고, 고가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구매하지 않아도 창업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국가 기본도, 사용자 중심으로 확 바꾼다
입력 2018-05-08 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