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성과, G7 정상회의서 국제적 지지 견인 가능성
비핵화 수준·검증 놓고 북·미 간 협상 난항 관측… 김정은 경호 문제일 수도
한반도 비핵화의 운명을 가를 북·미 정상회담이 6월 초 개최될 전망이다. 한때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 모멘텀을 이어가는 차원에서 5월 개최설이 불거졌고, 일부에선 다음 달 중순 개최 가능성도 대두됐다. 하지만 다음 달 8일부터 이틀간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직전에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이란 관측이 최근 힘을 얻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G7 정상회의 개최 전에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부 관계자는 7일 “국제 외교 일정을 고려해볼 때 북·미 정상회담 뒤에 G7 정상회의가 열리면 회담 성과에 대한 참가국의 지지 성명과 국제적 관심을 도출하는데 더욱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을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기회도 얻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G7 정상회의 이후로 북·미 정상회담을 연기할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도 지난 4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통화에서 “G7 정상회의에서도 남북,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지지의 뜻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G7 정상회의 전에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북·미 정상회담은 3∼4주 안에 열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월 넷째 주, 빠르면 셋째 주에도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었다.
하지만 한·미 정상회담이 오는 22일로 확정되면서 시기가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을 북·미 정상회담에 반영하려면 적어도 열흘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미국과 정상회담을 갖는 건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마지막 조율을 위한 것”이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열흘에서 2주 정도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언급했는데도 아직까지 미국 정부의 공식 발표가 없는 것을 두고는 물음표가 따라붙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 날짜와 장소를 갖고 있다”(5월 4일), “시간과 장소 결정을 모두 끝냈다”(5월 5일) 등 연일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언급을 했다.
그럼에도 공식 발표가 지연되는 것은 북·미 양측이 핵심의제인 비핵화 수준과 검증 등을 놓고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합의했다’고 발표한 만큼 심각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며 “실무적인 조율 과정에서 늦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다만 “실무 조율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지만 의제 협상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상황을 배제할 순 없다”고 말했다.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경호 문제 때문에 공식 발표에 시간을 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트위터와 언론에 정보를 사전 공개하자 북한이 불만을 표시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경호와 의전 문제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일종의 ‘엠바고’(보도유예)를 미국에 강력하게 요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북·미 정상회담, G7회의 직전 6월 초 유력
입력 2018-05-07 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