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북·미회담 전 訪美… 막판 조율 나선다

입력 2018-05-04 18:08 수정 2018-05-04 21:33

문재인(얼굴) 대통령이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되더라도 미국을 방문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마지막 조율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판문점이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로 유력하게 떠오르면서 한·미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남·북·미 정상회담이 서울과 판문점에서 잇달아 개최되는 패키지 구상이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에 맞춰 3자 간 정상회담을 할 수 있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직전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실리가 없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할 경우 이미 북·미 정상회담 준비가 끝난 시점이어서 한·미 정상회담이 형식적인 회담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4일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북·미 간 이견을 중재하고 미국을 설득할 부분이 있다면 설득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진 정상 간 대화 내용도 미국에 전달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종전선언, 평화협정 체결들을 위한 논의도 진행할 것”이라며 “문 대통령이 직접 마지막 조율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청와대는 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발표되는 대로 즉시 문 대통령의 방미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기는 북·미 정상회담 1∼2주 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방문 일정도 2005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처럼 1박3일의 초단기 방문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원 포인트’ 회담인 데다 한·일·중 정상회의, 문 대통령 취임 1주년 등 예정된 일정도 많다.

다만 북·미 정상회담이 이달 중순으로 급격히 당겨진다면 미국 방문이 백지화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까지 시간이 촉박할 경우에는 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때는 청와대 및 백악관 참모들의 채널과 정상 간 통화 등을 통해 의견을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