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차세대 전투기(FX) 사업과 관련해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이 F-22(사진)와 F-35의 하이브리드(혼합형) 기종 개발을 일본 정부에 타진했다고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F-22는 세계 최강의 스텔스 전투기로 지금까지 미국이 어떤 나라에도 팔지 않았다. 10년 전 일본이 수입을 시도했으나 미 의회가 기술 유출을 우려해 거부했다.
미국이 비장의 첨단무기를 팔기로 마음을 바꾼 것은 무기 장사로 무역적자를 메우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뜻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전투기는 자동차나 농산물보다 단가가 높아서 큰 건을 계약하면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일본 정부는 FX 사업에 총 6조엔(약 59조19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 주력전투기 F-2를 퇴역시키고 후속 기종을 2030년에 도입하는 사업이다. 전투기 개발에 1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연내에 구체적인 방침이 확정돼야 한다.
일본 입장에서는 록히드마틴의 제안이 달갑지만은 않다. 그동안 순수 국산화를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 현 주력기 F-2는 미국의 베스트셀러 F-16을 개조한 모델이다. F-22와 F-35의 하이브리드가 후속 기종이 된다면 이번에도 일본 기업이 개발에 관여할 여지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가게야마 마사미 전 항공장비연구소장은 “일본 기업의 수익이 악화돼 방산 분야 생산과 기술 기반이 흔들릴 것”이라며 “부족한 부분은 미국의 기술력을 빌리되 일본이 주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과 북한을 상대하는 엄혹한 안보 환경 속에서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중시한다면 일본이 미국의 제안을 거부하기는 어렵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미쓰비시중공업 주도로 개발하는 방안과 영국 방산업체 BAE시스템스와의 1대 1 공동 개발도 FX 선택지에 넣고 있다.
천지우 기자
트럼프의 장삿속?… 美, 日차세대 전투기로 F22·F35 혼합형 제안
입력 2018-05-04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