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의 신호탄이 될 5G 주파수 경매가 다음 달 15일 실시된다. 주파수는 이동통신 3사에 비교적 균등하게 돌아갈 전망이다. 2개 대역의 경매 최저경쟁가격을 합친 금액만 3조2760억원에 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3월 5G 상용화에 필요한 주파수 할당계획이 확정돼 다음 달 15일 경매를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경매 대상은 5G용 주파수 3.5㎓(3.42∼3.7㎓) 대역과 28㎓(26.5∼28.9㎓) 대역이다. 이번에 공급되는 주파수 대역 2680㎒는 역대 경매로 나온 주파수 가운데 최대 폭이다.
주파수는 데이터가 지나가는 고속도로와 비슷하다. 넓은 도로에서 차량이 수월하게 지나갈 수 있는 것처럼 주파수를 더 많이 확보해야 통신 속도가 빨라지고 품질이 좋아진다. 5G망을 활용해 자율주행차,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등 신사업을 펼치려는 이통 3사는 유리한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려고 총력을 다한다.
이통 3사가 촉각을 세웠던 총량제한(한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최대 주파수 폭)은 3.5㎓ 대역에서 100㎒폭, 28㎓ 대역에서 1000㎒폭으로 결정됐다. 이 중 3.5㎓ 대역의 100㎒ 폭은 쓰임새는 많지만 할당량이 적어 이통사 간 경쟁이 치열한 황금주파수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이 대역 총량제한 후보로 100㎒, 110㎒, 120㎒ 3개 폭을 제시했는데 결국 가장 좁은 100㎒ 폭이 낙점됐다. 과기정통부는 “5G라는 새로운 세대가 열리는 시점에서 사업자들이 유사한 환경에서 5G 혁신을 시도할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가입자 수가 많아 넓은 주파수가 절실했던 SK텔레콤은 유감을 내비쳤고, 균등할당을 주장해온 KT와 LG유플러스는 반색했다.
한편 최저경쟁가격은 3.5㎓ 대역 280㎒폭의 경우 이용기간 10년에 2조6544억원, 28㎓ 대역 2400㎒폭은 이용기간 5년에 6216억원으로 확정됐다. 경매 낙찰대금은 전액 정부 기금으로 편입돼 정보통신 관련 연구·개발(R&D) 사업에 55%, 방송통신 관련 R&D 사업에 45%가 쓰인다.
☞
☞
☞
☞
☞
☞
☞
☞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5G 주파수, 내달 15일에 경매한다
입력 2018-05-0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