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첫 ‘경선 성적표’ 살펴보니… 靑 출신 16명 중 8명 본선행

입력 2018-05-03 05:04

문재인정부 청와대 출신 정치인들의 첫 ‘경선 성적표’가 나왔다. 6·13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한 16명의 청와대 비서관·행정관 중 8명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장을 받았다. 본선 결과는 장담할 수 없지만, 당내 공천 경쟁에서는 승률 50%를 기록했다.

지방선거 본선행 티켓을 손에 쥔 8명의 예비후보 가운데 경북지사 선거에 나서는 오중기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을 비롯해 은수미 전 여성가족비서관(경기도 성남시장 후보)과 백두현 전 선임행정관(경남 고성군수 후보), 김병내 전 행정관(광주 남구청장 후보), 채현일 전 행정관(서울 영등포구청장 후보) 등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다만 ‘문재인 청와대’ 경력의 위력이 경선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다. 경선을 통해 공천받은 사람이 16명 가운데 3명(문대림 서철모 이재수)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후광 효과’가 지방선거 공천 곳곳에서 확인됐다는 것이 민주당 내의 대체적인 평가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2일 “공천을 신청한 청와대 출신 인사 3분의 1 정도가 단수공천을 받은 사실만으로도 청와대의 당내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광역과 달리 기초단체장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문재인 청와대’ 경력을 기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15∼20%는 먹고 들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핵심 관계자도 “‘문재인 청와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단수공천을 한 게 아니라 청와대 출신이기 때문에 경쟁력을 얻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출신 인사 가운데 4명이 폭행·성추문 등으로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도덕성 논란도 일었다. 가장 논란이 된 인사는 부산 사상구청장 민주당 후보로 단수공천됐던 강성권 전 행정관으로, 여직원 폭행 문제로 공천은 물론 당원 자격까지 박탈당했다. 박수현 전 대변인과 유행열 전 선임행정관은 사생활 논란과 미투 의혹이 제기되자 예비후보 직을 내려놨다. 김기홍 전 행정관은 과거 성매매 등의 의혹이 제기된 후 사퇴했다. 또 화성시장 후보로 공천된 서철모 전 선임행정관은 도의원 선거 출마 경력에도 정치 신인 가산점을 받은 것에 대한 이의가 제기돼 재심이 진행 중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