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지진 계측 및 경보관련 특허출원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지진관측망과 경보 시스템 관련 출원이 특허출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허청은 2015∼2017년 지진 계측 및 경보 관련 특허가 총 168건 출원됐다고 2일 밝혔다. 지진 계측 및 경보관련 특허출원은 1974∼2017년 사이 총 405건이 출원됐다. 10년 전인 2005∼2007년엔 3년간 26건에 불과했으나 2015∼2017년 3년 동안은 168건이 출원돼 약 6.5배 증가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55건(13.3%)으로 최다 출원인에 이름을 올렸으며 한국전력공사 10건(2.4%), 엑손모빌 9건(2.2%), 서울대 산업협력단 8건(1.9%)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별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지진 관측망 및 경보 시스템 관련 출원이 91건(54%)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인 수배전반이나 가스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지진 감지장치 관련 출원이 20건(12%), 지반의 거동이나 침하 등의 계측을 통해 지진을 예측하는 출원이 16건(9.5%) 등으로 집계됐다.
일본의 경우 내진 설계와 전통적 지진 계측과 관련된 누적 특허출원 건수가 대한민국의 8배에 달하는 2654건이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술은 100건 정도만 출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근모 특허청 계측분석심사팀 과장은 “사물인터넷 등의 IT 기술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술이 융합될 경우, 기존 인프라의 활용이 가능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지진 관측망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지진 계측·경보 특허출원 급증
입력 2018-05-02 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