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연락사무소 6월쯤 개성에… 개성공단 재가동 염두?

입력 2018-05-01 05:05


남북 정상이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이르면 6월 내에 문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입주 장소로는 개성공단 안에 위치한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경협사무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개성 시내 북측 건물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정부는 북측과 연락사무소 설치 협의를 위해 고위급 회담을 조속히 열 방침이다.

경협사무소는 노무현정부 시절인 2005년 남북 경제협력 관련 실무 협의와 연락 지원 목적으로 개성공단 안에 세워진 건물이다. 4층 규모 건물로 2층에는 남측, 4층에는 북측 당국자가 상주하며 협의하던 곳이다. 2010년 이명박정부가 천안함 폭침에 대응해 5·24 조치를 내리자 북측이 일방적으로 폐쇄한 이후 지금까지 비어 있다.

연락사무소가 이 건물에 설치될 경우 개성공단 시설을 자연스럽게 점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개성공단은 2016년 2월 폐쇄 이후 왕래가 완전히 끊겨 시설 점검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북한 비핵화가 진전돼 대북 제재가 완화될 경우 공단 재개 준비 업무에도 활용할 수 있다. 남북이 개성공단 재가동을 염두에 두고 연락사무소 설치에 합의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경협사무소 건물은 현재 전기와 수도 공급이 끊긴 상태다. 개성공단은 남측에서 제공하는 전기와 수도로 가동돼 왔다. 박근혜정부는 공단을 폐쇄하며 북측 단독으로 공단을 재가동하지 않도록 전기와 수도를 차단했다. 경협사무소에만 따로 전기와 수도를 보내는 것은 현재로서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개성공단이 전면 재가동되기 전에는 경협사무소 건물을 활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개성 시내 건물에 연락사무소를 두는 방안도 거론된다.

연락사무소는 판문점 연락관 채널과 군 통신선, 정상 간 핫라인과 별도로 남북 간 직접 소통 창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사무소 직원은 우리 측에서 통일부, 북측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관계자를 파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락사무소는 이르면 6월, 늦어도 문재인 대통령의 가을 평양 방문 전에는 문을 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연락사무소 설치 등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 이행을 위해 5월 중 고위급 회담을 추진할 방침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실천하기 위한 고위급회담 등 관련 회담을 빠른 시일 내에 개최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