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기업 “재가동 채비” TF 띄웠다

입력 2018-05-01 05:00

6개 분과 15명으로 구성
방북 신청은 북미회담 뒤에 정부 지원·보상 관련 대응 논의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가 입주기업 업종별 대표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개성공단 재가동 준비에 나선다. 개성공단 시설점검을 위한 방북은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본 뒤 신청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30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 내 비대위 사무실에서 월례회의를 열고 TF 인선을 확정했다. 신한용 비대위원장은 “입주기업 업종별 대표 15명을 모아 TF를 꾸렸다”며 “TF는 개성공단 재가동에 필요한 준비와 소통 창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TF는 업종별로 섬유봉제(의류 및 신발), 화학 플라스틱, 전기전자, 금속, 식품 등 기타 5개 분과로 구성된다. 여기에 여러 업체가 입주해 있는 건물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업체를 모은 아파트형 공장 분과가 더해져 모두 6개 분과가 운영된다. TF장은 유창근 비대위 기획운영위원장이 맡는다. 비대위 관계자는 “그동안 비대위가 개성공단의 갑작스러운 폐쇄 이후 입주기업인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한 창구 역할을 했다면 TF는 개성공단이 재개됐을 때 필요한 정책 및 제도를 정비하는 실무를 맡을 것”이라며 “전문가 의견을 듣고 정부에 정책도 건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이날 월례회의에서 정부에 요구할 경영정상화 지원안, 개성공단 중단에 따른 배·보상 관련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개성공단 시설점검을 위한 방북신청 시기를 협의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애초 방북신청을 5월에 할지, 북·미 정상회담을 지켜본 뒤에 할지 의견이 엇갈렸지만 우선 북·미 정상회담에서 대북제재가 풀리는지 보고 움직이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지난 정부에서 3차례, 현 정부에서 2차례 방북신청을 했지만 모두 성사되지 않았다.

한편 비대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판문점 선언으로 정부가 개성공단 재개를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만큼 관련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며 “개성공단이 재개되면 입주기업의 피해를 복구하고 경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