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접경지역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접경지역들은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각종 개발사업이 평화의 바람을 타고 풀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비무장지대(DMZ)와 맞닿은 접경지역의 대표 현안은 동서평화고속화도로 건설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인천국제공항∼옹진군∼강화∼고성까지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211㎞ 길이의 4차선 도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강원·경기 10개 시·군으로 구성된 접경지역 시장·군수협의회는 사업 추진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2011년 제3차 도로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된 이 사업은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지난해 처음 기초 조사 용역비 5억원이 정부 예산안에 포함됐다. 용역 결과는 오는 11월쯤 나온다.
강원도는 영서 북부지역의 숙원사업인 춘천∼철원 고속도로(63㎞) 건설사업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대구에서 춘천까지 이어진 중앙고속도로를 철원까지 연장하는 이 사업은 1999년과 2005년 두 차례 실시한 타당성 분석에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와 추진이 무산됐다. 강원도 관계자는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 연결 교통망의 사전 구축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해 사업 추진을 위한 건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남북평화도로 사업도 청신호가 켜졌다. 인천시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천지역 공약인 ‘서해평화협력벨트 조성’의 선도 프로젝트로 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서 해상교량을 건설해 강화도를 연결한 뒤 황해도 해주까지 80㎞를 잇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1단계 영종도∼강화도 18.04㎞ 구간 7272억원, 2단계 강화도∼개풍∼개성공단 45.7㎞ 1조2000억원, 3단계 강화도∼해주 16.7㎞ 5050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계획대로 도로가 놓이면 인천공항에서 개성공단, 해주까지 차량으로 1시간 내 이동이 가능해 진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 도로가 완성되면 남북이 더욱 가까워져 인천이 국가 물류중심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기지역의 교통인프라 발전도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판문점 선언에 서울∼신의주를 달리는 경의선 철도와 도로를 연결한다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이다. 2004년에 연결된 경의선은 2007∼2008년 1년간 파주시 문산∼개성 구간에서 화물열차가 운행된 바 있다. 북한 철도는 남한과 동일하게 표준궤를 운영하고 있지만 현대화 등 시설개량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도로(500여㎞)는 개보수 될 예정이다. 이 도로는 분단 이후 서울∼개성을 잇는 구간이 끊겼다. 파주 문산과 개성 구간(19㎞)만 이으면 서울에서 평양까지 고속도로로 달릴 수 있다.
화천·파주·인천=서승진 김연균 정창교 기자 jseo@kmib.co.kr
기대감 커지는 접경지역 SOC 사업
입력 2018-04-30 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