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저출산을 개선하기 위해 종교계가 나섰다. 기독교계를 포함한 국내 7대 종단으로 구성된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는 3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한 국민운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사회 각계각층이 저출산 극복에 참여하도록 종교계가 앞장선다는 취지다. 가족 친화적 가치관 확산, 낙태 방지와 자살 예방 등 생명존중 사상 전파, 임신·출산·양육에 대한 사회적 배려 강화 등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노력을 다짐했다.
그동안 정부가 저출산 대책에 노력하지 않은 건 아니다. 아이를 여럿 낳으면 이런저런 혜택을 주겠다는 내용의 대책들을 내놨지만 소용없다는 게 한계다. 지난 10년간 쏟아 부은 돈이 자그마치 126조원인데도 저출산을 반전시키지 못했다.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마침내 종교계가 가치관과 의식, 사회문화를 바꾸는 국민운동을 펼치는 것은 뒤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적절하다.
저출산 문제는 개인에 그치지 않는다. 사회와 경제의 원동력 상실이라는 국가 차원의 과제다. 선진국들이 매우 중대하게 대처하고 있는 이유다. 합계출산율이 2.01 이상은 돼야 국가가 기존 인구수를 유지하고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 합계출산율은 14∼49세 여성이 가임(可姙) 기간 낳는 자녀의 수를 말한다. 걱정스럽게도 우리의 경우는 2005년 1.08 이후 2017년 1.05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해는 1.0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종교계는 생명 고귀함을 일깨우는 것부터 자녀 양육의 부부 역할 평등성 제고 등 다양한 사회운동을 파생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부와 기업, 우리 사회가 구성원들의 워라밸(Work & Life Balance) 보장에 미적거릴 경우 저출산은 재앙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정책과 민간의 노력이 균형 있게 진행돼 저출산 문제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길 기대한다.
[사설] 저출산 극복 위해 발 벗고 나선 종교계
입력 2018-05-0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