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해빙 무드가 조성되면서 교육부가 통일교육을 내실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29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체계적인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일교육에 대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가칭 평화통일교육자문위원회를 꾸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교육부 내에 설치될 것으로 보이며 통일 분야 전문가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학생들이 통일의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도록 체험형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교육부는 2016년에도 학교통일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며 학생들이 중심이 되는 프로그램을 강화키로 했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주로 사회 교과 시간에만 이뤄지고 수업 시수 자체도 많지 않았다.
때문에 교육부는 ‘통일리더캠프’ ‘통일 이야기 한마당’ 등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을 늘릴 계획이다. 통일교육 주간(5월)에 진행하는 계기수업(공식 교육과정과 달리 사회 이슈에 따라 편성되는 수업)도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이 아니라 토론과 체험기관 방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빠르게 변화하는 남북관계를 고려해 교사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최근 남북한이 겪는 변화와 통일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해 일선 학교에 배포할 예정이다.
오는 8월에는 독일 교사들을 초청해 국내에서 초·중등 교원 80여명과 통일교육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독일이 경험한 통일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통일교육 방식을 연구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교육부 ‘통일교육’ 강화키로… 공감·체험 프로그램 확대
입력 2018-04-30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