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판문점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평화 시대를 여는 역사적인 발걸음을 내디뎠지만 시작일 뿐이다. 가야 할 길이 멀고 넘어야 할 고비가 한둘이 아닐 게다. 남북은 지나친 낙관론도, 비관론도 동시에 경계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남북한 공동 번영이란 최종 목표를 향해 인내심을 갖고 신중하게 나아가야 한다.
두 정상이 합의한 내용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국민적 지지가 필요하고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은 필수다. 그런데도 국회는 극단적인 대결에 사로잡혀 2개월째 문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당장 “김정은과 문재인 정권이 합작한 남북 위장 평화쇼”라며 완벽한 비핵화 원칙에 합의한 남북 정상회담의 의미를 깎아내렸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둔 시기라 여야가 정치적 이해득실에 매몰돼 남북 문제까지도 정쟁거리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어 걱정이다.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 평화 공존은 우리의 숙원이다. 이를 위한 노력에는 여와 야가 따로 일 수 없다. 정치권은 당리당략에서 벗어나 한반도의 새 시대를 여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청와대는 정상회담의 성과를 여야 정당들과 공유하고 조언을 구할 것은 구해야 마땅하다. 정상회담의 성과를 과대포장하고 장밋빛 전망을 부풀려 지방선거에 활용하겠다는 생각은 아예 버려야 한다. 야당들도 정부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는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정상회담에 대한 평가와 후속 조치를 놓고 남남갈등이 불거질 수 있는데 정치권이 이를 부추키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아야 한다.
[사설] 정상회담 결과 초당적으로 뒷받침해야
입력 2018-04-28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