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독거노인 돌봄 지원 대상을 현재보다 27만6000명 늘려 2022년에는 모두 90만2000명에게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독거노인 수는 2010년 105만6000명에서 올해 140만5000명으로 늘었다. 2022년에는 171만40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공공과 민간의 돌봄 및 지원이 시급한 요보호 독거노인이 올해 약 64만1000명이다. 실제 돌봄 지원을 받는 독거노인은 62만6000명에 머물고 있다.
복지부는 “외부 지원을 거부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이 늘고 있는데 욕구 유형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은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2차 지원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택배회사 등 민간이나 우체국 경찰 등 지역기관과 협력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올해 7만6000명에서 2022년 27만명까지 받을 수 있도록 대폭 늘리기로 했다. 공공 돌봄 서비스 대상도 같은 기간 55만명에서 63만20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독거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초기 독거노인을 적극 찾아내 유형별 맞춤 서비스도 제공한다. 혼자 산 지 얼마 안 된 노인에게 치매 예방, 건강관리법 등을 가르쳐 주고 독거노인들끼리 자조모임을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하는 ‘생생 싱글라이프’를 도입할 방침이다. 독거 치매 노인의 의사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공후견제도를 시행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취약 독거노인 90만명에게 맞춤형 서비스”
입력 2018-04-28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