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27일 자사주 854만주를 소각하겠다고 발표했다. 2004년 이후 14년 만의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 이익을 높이려는 조치다. 최근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이 소수 지분으로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간섭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주주 가치를 높여 일부의 반대를 정면 돌파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이날 공시를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661만주, 우선주 193만주 등 총 854만주의 이익 소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가 소각하게 될 자사주는 발행 주식 총수의 3% 수준이다.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일부를 소각하는 한편, 시장에서 자사주를 매입한 뒤 소각하는 방식을 병행하게 된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이다. 회사 이익을 활용해 주식 시장에서 자사 주식을 사들여 소각하면 전체 주식의 수가 줄기 때문에 남은 주식의 가치가 높아진다. 현대차는 2001년과 2004년 각각 1100만주, 132만주의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다. 삼성전자도 주주 친화 정책의 일환으로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다.
현대차는 먼저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중 보통주 441만주, 우선주 128만주를 합한 569만주를 소각할 예정이다. 이어 보통주 220만주, 우선주 65만주 총 285만주의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한 뒤 소각한다. 자사주 소각에 소요되는 금액은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에 약 5600억원, 추가 매입 후 소각에 약 4000억원 총 9600억원 규모다. 소각 시점은 기존 보유 자사주의 경우 7월 27일 예정이며, 매입하는 자사주의 경우는 매입 완료 시점에 소각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소각 결정은 그동안 추진해 온 주주가치 제고 노력의 일환이며 엘리엇과는 무관하다”며 “엘리엇이 요구했다고 불과 며칠 만에 1조원 가까운 돈으로 자사주를 매입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3일 엘리엇은 현대차그룹에 주주환원 강화를 요구하며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의 모든 자사주 소각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엘리엇은 이날도 입장자료를 내고 “(현대차그룹) 지주회사 전환 시 금융 자회사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법률 준수 문제에 관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의 언급에 주목한다”며 “그러한 우려가 바로 엘리엇이 해당 문제가 관련 법률과 규정에 따라 2년의 유예 기간 내에 해결돼야 함을 명확하게 밝힌 이유”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전날 “(엘리엇의) 요구를 따르면 공정거래법을 위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font color="#011B63">☞
☞
☞
☞
☞
☞
☞
☞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현대차 자사주 854만주 소각키로… 1조 규모
입력 2018-04-27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