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현 한국기독교연합·한기연)은 각각 2011년, 2017년 회원 교단이 한꺼번에 이탈하는 사태를 겪었다. 연합기관 지도자들이 ‘연합’ ‘일치’라는 존재 목적보다 교권 쟁취라는 사적(私的) 이익을 앞세우는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A교단 사무총장은 26일 “한기총과 한기연에서 회원 교단이 대거 이탈했던 건 교권 다툼에 염증을 느꼈기 때문”이라며 “이들 연합기관의 대표회장과 공동회장, 실무자 등은 교권 독점 현상에 대한 회원들의 비판, 한국교회 일치를 위한 회원들의 기구 통합 노력을 부정적으로 봤으며 끝까지 자기 ‘밥그릇’을 놓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B교단 사무총장도 “리더십들이 교권 쟁취에 몰두하다 보니 기관이 원래 설립목적, 본질에서 벗어나게 됐고 회원들로부터 버림받게 됐다”면서 “결국 리더십의 부재는 회원 교단의 이탈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군소교단 활동, 일부 정치인사 전횡
기관의 사유화는 일부 정치 인사들의 전횡, 군소 교단의 활동과 직결돼 있다는 비판이 높다. 한기총과 한기연은 과거 다양성을 존중한다며 군소 교단을 적극 포용했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리더십과 기관의 존재 목적을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기총과 한기연에 가입된 다수의 군소 교단은 종신형 총회장제와 총무제로 운영된다. 심지어 일부 교단은 총회 사무실조차 없는데, 총회장이 시무하는 교회 사무실을 빌려 쓰기도 한다. 이처럼 리더십과 총회 조직의 경계선이 느슨하다 보니 연합기관은 ‘섬김’이 아닌 ‘교권 쟁취’ 대상으로 전락한 것이다.
C교단 사무총장은 “연합기관의 대표회장이나 대표회장을 지낸 목회자들은 섬기기보다 기득권을 갖고 계속 그 자리를 누리려 했다”면서 “이런 비뚤어진 리더십을 갖고 있다 보니 회장단이 회원교단 총회장과 총무를 마치 아랫사람인 양 취급하는 현상마저 나타났다”고 비판했다.
군소교단 중심의 기형적 구조는 일부 정치 인사들이 부추긴 과열 선거전과 결합되면서 리더십을 더욱 약화시켰다. 선거에 기여한 인사들이 기관 요직을 전리품처럼 챙기다 보니 한국교회 미래를 위한 콘텐츠 생산이나 교계입장 대변은 뒷전이 돼버렸다.
D교단 총무는 “한기총과 한기연에서 회원 교단의 대규모 이탈현상이 발생한 것도 한국교회의 일치, 방향성보다는 선거 후 전리품을 나누고 조직을 지키려는 수구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라며 “ 때문에 리더십 위기에 봉착했고 기관의 도태 현상을 맞게 됐다”고 분석했다.
‘한교총+한기총’ 통합 구조가 이상적
현재 거론되는 가장 이상적인 통합 형태는 한국교회총연합회(한교총)과 한기총의 통합이다.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교단이 가입된 한교총과 29년 역사를 지닌 한기총을 결합시키자는 것이다.
결국 통합 논의는 연합기관의 리더십을 어떻게 세우느냐의 문제로 귀결될 전망이다. 그러나 선거 없는 공동 리더십 체제의 한교총과 치열한 선거전을 치러 1인 리더십을 세우는 한기총을 하나로 묶는 작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교총 관계자는 “한기총과 통합 논의에서 경선 없는 리더십 선출, 이단 배제라는 분명한 원칙을 갖고 있다”면서 “통합 논의가 잘되지 않더라도 한교총에서 법인을 설립하고 맡겨진 역할을 묵묵히 감당한다면 한국교회가 인정하는 리더십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한기총 관계자는 “통합추진위원장으로 선임된 이태희 목사가 선거관리위원회에서 회원 자격이 정지됐고 통합추진위원장 인준 여부조차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따라서 통합과 관련해 당장 뭐라고 말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교회연합운동 2.0 시대 열자] 교권정치 몰두하다 회원 교단에 외면당해
입력 2018-04-27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