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드루킹 수사, 김경수와의 커넥션 의혹에 집중해야

입력 2018-04-27 05:03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25일 밤 TV조선 본사를 압수수색하려다 기자들이 반발하자 철수했다. 경찰은 경기도 파주 느릅나무출판사에서 TV조선 수습기자가 태블릿PC 휴대전화 USB 등을 훔친 것과 관련, 자료 유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더디게 진행된 수사 흐름으로 볼 때 언론사에 대한 신속한 압수수색은 괜한 오해를 살 수 있는 행보다.

취재 과정이었다고 해도 기자가 드루킹의 사무실에 무단 침입해 물건을 훔친 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범법행위에 대한 수사는 언론사나 기자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번 TV조선에 대한 압수수색 시도는 과잉 수사로 보인다. TV조선은 방송을 통해 자사 기자의 행위에 대해 공식 사과했고 훔친 물건들도 돌려줬다. 해당 기자는 경찰에 자진 출석해 8시간가량 조사받았고 사용하던 휴대전화와 노트북을 제출했으며 자택 압수수색까지 받았다. 수사에 협조했다고 할 수 있는데도 경찰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언론사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벌이려 한 것은 지나쳤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인터넷 공간에서 여론 조작이 어떻게 이뤄졌고, 그 과정에서 드루킹과 온·오프라인을 통해 여러 차례 접촉한 것으로 드러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어떤 관계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를 겨냥한 수사는 이상하리만치 미적대고 있다. 드루킹이 구속된 게 한 달 전이고 핵심 측근과 김 의원 보좌관 사이에 현금이 오간 사실까지 드러났다. 그런데도 김 의원 측에 대한 소환조사는커녕 진상을 가릴 단서가 될 수 있는 김 의원의 휴대전화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늑장수사란 여론이 일자 경찰이 최근 김 의원과 보좌관의 사무실, 통신 내역과 금융계좌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이 대부분 기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권력 눈치를 보고 봐주기 수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자초한 것이다. 이러니 특검이 수사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닌가. 시간이 흐를수록 진상 규명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검·경은 곁가지 수사인 언론사 압수수색에 매달리지 말고 본질인 드루킹-김 의원 커넥션 의혹을 밝히는 데 모든 수사력을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