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게 잠겼던 총신대(총장 김영우) 전산실이 25일 열렸다. 총신대 신대원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곽한락 전도사)가 지난 2월 20일 ‘김영우 총장 사퇴’를 촉구하며 서버를 차단한 지 2개월여 만이다. 교육부가 김 총장 파면을 요구하고 재단이사회 임원 전원을 직무 정지시킨 이후 학사운영은 빠르게 정상화되고 있다. 학부에 이어 신대원도 25일부로 점거를 해제하고 수업 복귀에 나섰다.
26일 서울 사당동 총신대 캠퍼스는 철제 컨테이너가 여전히 종합관과 신관 건물 앞을 막고 있었지만 점거 농성 당시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야 했던 것과 달리 출입에 제한이 없었다. 계단과 각층 로비를 가득 메웠던 책상과 의자, 천막은 사라졌고 임시숙소와 비대위 회의실로 사용되던 열람실엔 수업 준비와 과제를 하러 온 학생들로 활기가 돌았다. 시위에 참가했던 학생 대부분이 수업에 복귀하면서 나타난 모습들이다.
하지만 긴장이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다. 학부 측 시위를 주도해 온 총신정상화위원회는 “수업 정상화는 김 총장 퇴진을 전제로 한 시한부 조치”라며 “자료유출 및 증거인멸을 막기 위해 교무입학팀장 행정지원처장 등 김 총장을 지원해 온 직원들에 대해선 여전히 종합관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총신대 학사운영에 중추적 역할을 해 왔지만 점거농성 사태로 유명무실해진 ‘교수회의’에 대한 대안도 마련됐다. 총신대 교수 52명은 25일 ‘비상교수회의’를 조직하고 학사 정상화와 학생들의 고충 해결을 돕기 위한 ‘교수실행위원회’를 구성했다. 의장을 맡은 신국원 교수는 “총장과 법인이사회가 교육부 처분을 받아들이고 사퇴를 결단하도록 촉구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교육부, 총장 파면 요구 후 총신대 학부·신대원 수업 재개
입력 2018-04-27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