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인체 연관성 판단 위해 장기적 추적이 필요하고 화학물질 리스트 공개해야”
반올림 “기대했는데 실망” 삼성전자 “후속조치 마련”
‘삼성 옴부즈만 위원회’가 삼성전자 반도체 근로자의 백혈병 등 질병 발생과 작업환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 향후 연관성 판단을 위해선 장기적 추적이 필요하고, 사업장에서 쓰는 모든 화학물질의 리스트도 공개하라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2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종합진단 보고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삼성전자, 삼성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 반올림이 2016년 1월 합의에 따라 만든 삼성전자 외부 독립기구다. 산업보건, 예방의학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꾸려졌다.
위원회는 먼저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의 백혈병 등 질병 발생과 작업환경의 인과관계에 대해 “반도체 근로자들과 질병 간 관련성에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고 밝혔다.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한 문헌고찰 및 분석을 실시했으나 통계의 유의성 및 연구 간 내용이 달라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또 삼성전자가 실시한 최근 3년간 작업환경 측정 결과를 분석했으나 각 사업장에서 검출된 유해인자 중 법적 노출허용기준의 10%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고 결론지었다. 웨이퍼 제조 공정에 쓰이는 감광액 용액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벤젠 등 16종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톨루엔 등 9종은 검출됐으나 극미량 수준으로, 인체 유해성 판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위원회는 향후 반도체 공정과 질병 발생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위해선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 2차 자료와 연계해 장기적 추적이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위원회는 “관련성 판단을 위해선 반도체 및 LCD(액정표시장치) 사업장 재직자뿐 아니라 퇴직자 및 보상대상자를 포함한 코호트(특정경험 공유집단 비교 연구)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수 위원장은 “1년 남짓 조사한 위원회의 한계는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직원의 알 권리 보호와 산업재해 판단을 위해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도 적극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화학물질 정보공개 관련 의사결정에 직원의 참여를 보장하고, 직원이 외부 전문가 조력을 받을 수 있는 지원체계도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이상수 반올림 상임활동가는 “(위원회가) 안전기준이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해주길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삼성전자는 “(위원회) 제안을 충실히 검토해 세부적인 후속 조치를 마련해 이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현길 손재호 기자hgkim@kmib.co.kr
삼성옴부즈만 “반도체 공장, 백혈병과 연관 결론 못내”
입력 2018-04-25 19:01 수정 2018-04-25 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