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일당 아이디 614개 대선 전후 댓글 내역 추적

입력 2018-04-25 19:04 수정 2018-04-25 21:37
민주당원 댓글 여론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24일 오전 느릅나무 출판사의 세무 업무를 담당한 서울 강남구 중앙회계법인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된 물품이 든 상자를 옮기고 있다. 뉴시스

1월 17일 기사 조작된 댓글 2건 아닌 39건으로 밝혀져
경공모 회원 4540여명 확인… 아이디 수집 증언도 나와


경찰이 인터넷 여론조작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동원(49·닉네임 드루킹)씨가 주도하는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의 보좌관 한모씨를 피의자로 입건했다. 드루킹 일당이 대선 과정에서 댓글 조작에 나섰는지도 수사에 나섰다.

서울경찰청은 “보좌관 한씨를 부정청탁및금품수수금지법 위반 혐의로 피의자 입건했다”며 “오는 30일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로 출석하라고 통보했다”고 25일 밝혔다. 청탁금지법은 공직자 등 법안 대상자들이 직무 관련성이나 대가성에 상관없이 1회 100만원(연간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을 수수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씨는 지난해 9월 김모(49·닉네임 성원)씨로부터 500만원을 받았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조사한 결과 정상적 채권채무관계가 아닌 부정한 금품거래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찰은 한씨와 드루킹 일당 사이에서 더 많은 금액이 오갔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추가 금품 거래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라며 “한씨가 받은 금품 액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경찰은 네이버 본사를 상대로 댓글 조작에 사용된 것으로 의심되는 아이디 614개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도 집행했다. 경찰 관계자는 “아이디별 로그기록 등을 회신받을 예정”이라며 “아이디가 대선 전후 댓글작업에 이용됐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14개 아이디 중 경공모 카페 회원 아이디는 202개였고 비회원 아이디가 412개였다. 인적사항과 대조한 결과 202개 아이디를 소유한 회원은 169명이었다. 드루킹 일당이 일부 아이디를 구입하거나 도용했을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비회원 아이디가 도용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정보통신망법 위반 등 혐의가 추가될 수 있다.

경찰은 드루킹 일당이 지난 1월 17일 평창 올림픽 관련 기사 1개에 달린 댓글 순위를 조작한 게 기존에 알려진 2건이 아닌 39건이라고도 밝혔다. 경공모 회원은 454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공모가 네이버 아이디를 집중 수집했다는 내부 증언도 나왔다. 경공모 고위 등급 회원이었던 A씨는 25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대선이 끝나고 회원들에게 네이버 계정을 달라고 하고 이후에도 수시로 요청했다”고 했다. 대선 이후 광범위한 댓글 조작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의심되는 대목이다. 경공모 고위 등급 회원 B씨도 “다른 휴대전화를 개설해서라도 네이버 계정을 생성하기를 원했다”며 “계정을 이미 냈던 사람들도 더 만들어서 제출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해당 공지를 전달한 이는 닉네임 ‘서유기’로 알려진 박모(31)씨였다.

드루킹 일당은 스태프 승급을 미끼로 ‘24시간 네이버 감시 요원’을 모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24시간 네이버를 감시하는 별도 방의 요원을 모집한다’는 내용의 공고가 경공모 숨은 회원카페에 게시됐다”고 했다. 가입 독려를 위해 ‘요원이 되면 스태프가 될 수 있다’는 문구도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요원이 되기 위해선 별도의 보안 서약서를 작성해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댓글과 추천 수 조작 등 불법적인 일을 비밀리에 수행하기 위해 이 같은 절차를 거친 것으로 보인다. B씨는 “요원 지원자에게 매크로 관련 교육을 받으러 오라는 공지도 있었다”고 밝혔다.

허경구 손재호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