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의원들 항의 방문에 “도입 고민하고 있다” 답변
드루킹 댓글조작 파문 따라 댓글 정책 개편안 발표했지만 “미봉책에 불과” 혹평 쏟아져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에 ‘아웃링크’ 도입 가능성을 처음으로 시사했다. 포털에서 기사를 선택하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넘어가 기사를 보게 하는 방식이다. ‘드루킹 사태’ 이후 뉴스 댓글 조작으로 악화된 여론을 땜질식 처방으로 달래기 힘들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25일 경기도 성남 네이버 본사를 항의 방문한 김성태 원내대표 등 자유한국당 의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내부적으로 아웃링크 도입을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언론사마다 이해관계가 달라 관련 의견을 듣고 어떤 방식을 취하는 것이 현명한지 최대한 빨리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뉴스 서비스라는 것을 해야 하느냐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간 네이버는 “댓글 제도 폐지는 표현의 자유를 막는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아웃링크 도입을 거부하고 ‘인링크’를 고집했다. 인링크는 기사를 클릭하면 포털 사이트 안에서 기사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용자들을 포털 사이트에 계속 머물게 하면서 다른 콘텐츠 소비까지 유도하고 포털사의 광고 수익을 늘리도록 하기 위한 전략이다. 하지만 구글 등 선진국 포털사들은 대부분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주요국 가운데 한국과 일본 정도만 인링크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아웃링크 방식이 도입되면 댓글도 언론사 사이트 내에서 달아야 한다. 댓글을 통한 여론 조작이 어려워지는 셈이다. 포털사가 임의로 기사 배치를 편집해 올리거나 기사 순위를 매기는 ‘뉴스 장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앞서 네이버는 드루킹 사태가 벌어진 이후 처음으로 댓글 정책 개편안을 이날 발표했다. 24시간 내 하나의 계정으로 기사 1건에 달 수 있는 댓글을 기존 20개에서 3개로 줄였다. 전체 댓글에 대한 공감·비공감 클릭 수도 24시간 동안 총 50번으로 제한했다.
또 댓글 작성 후 다른 댓글을 달려면 10초를 기다리면 됐으나 앞으로는 60초가 지나야 가능하다. 공감·비공감 클릭도 10초를 기다려야 추가 클릭할 수 있도록 했다. 다음 달 중 댓글 정렬 방식 변경을 포함한 추가 개선책을 내놓겠다고 했다.
그러나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혹평이 쏟아졌다. 인링크를 유지하는 한 댓글 조작의 위험성은 상존하고, 매크로가 우회해서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댓글을 조작하는 데 쓰이는 매크로를 100% 막을 기술은 없다”면서 “네이버의 대책은 일반 포털 이용자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개악으로 차명 ID를 대량 동원하는 매크로를 방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꼬집었다.
야당의 비판도 이어졌다. 김 한국당 원내대표는 네이버 본사 앞 긴급 의원총회에서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가 사회적 어젠다를 설정하고 여론을 통제하는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주선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포털은 여론조작 공장이 됐다”며 “TF를 구성해 포털 개선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유성열 문동성 기자 nukuva@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
그래픽=안지나 기자
여론에 밀려… 네이버 ‘아웃링크’ 도입 검토
입력 2018-04-25 18:25 수정 2018-04-26 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