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지시로 회계자료 매일 삭제… 회계총책 ‘파로스’ 진술

입력 2018-04-25 05:05

민주당원 인터넷 여론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24일 경기 파주 느릅나무출판사 관할 세무서와 회계 법인을 압수수색하며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자금 추적에 나섰다. 경찰은 김동원(49·닉네임 드루킹)씨가 회계 자료를 매일 삭제하며 은밀하게 자금을 활용해온 정황도 포착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피의자들과 거래한 상대방 및 주요 참고인 금융거래 내역을 확보해 이번 사건과 관련한 자금 흐름 중 수상한 부분을 살펴보려는 목적”이라고 말했다.

회계 관리 총책인 닉네임 파로스 김모(49)씨는 경찰 조사에서 “느릅나무의 금전출납장 일계표를 매일 엑셀파일로 작성해 회계 법인에 보내주고 파일은 즉시 삭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로스는 주범으로 지목된 김동원씨의 지시로 2016년 7월 이후부터 이 같은 행동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처를 숨기려는 목적이 있었다는 뜻이다. 압수수색 현장에 있던 회계법인 관계자도 경공모 회원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인터넷 모임인 경공모 자금이 개인회사인 느릅나무출판사로 흘러 들어갔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느릅나무는 명목상 출판사일 뿐 실제로는 온라인 쇼핑몰 ‘플로랄맘’을 통해 비누 등을 판매해서 얻은 게 수입의 전부였기 때문에 드루킹은 경공모 돈을 끌어다 쓴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드루킹 일당이 지난 1월 17일 댓글 조작에 이용한 매크로(자동화)프로그램 외에도 자체적으로 매크로 기능을 실행하는 서버를 구축한 사실도 확인했다. 이들은 이 서버를 ‘킹크랩’으로, 관련 댓글 활동을 ‘게잡이’로 지칭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또 드루킹 측근 김모(49·닉네임 성원)씨로부터 500만원을 건네받은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보좌관 한모씨를 조만간 소환해 금전거래 경위 등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한씨가 당초 알려진 것과 달리 여전히 사직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자유한국당 김영우 의원은 비상의원총회에서 “사퇴를 했다는 보좌관이 여전히 국회(입법정보화시스템)에 등록돼 있다”고 지적했다. 입법정보화시스템은 면직이 되면 길어도 일주일 이내에는 자동으로 처리된다. 김 의원이 최근까지 한씨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해당 보좌관은 사직서를 제출한 뒤 현재 출근을 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이진동)는 구속 기소된 김씨 일당 3명에 대해 변호인을 제외한 외부인과의 접견·교통금지 처분을 청구했다. 서신 교류 등을 통한 증거인멸을 방지하려는 조치다. 서울중앙지법은 검찰의 청구를 바로 인용했다.

허경구 신훈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