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를 50일 앞두고 청년들이 청년정치·청년정책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청년유니온, 청년참여연대 등 26개 전국 청년단체들은 24일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2018 지방선거 청년공동행동’ 발족식을 열고 10가지 청년정책 요구안을 발표했다.
청년정책 요구안에는 진로 탐색을 위한 청년갭이어 전국 확대, 청년채무 조정기구 설립, 지방정부 위원회에 청년 참여 20% 의무화, 청년정책 예산 3% 이상 배정, 청년기본법 제정 등이 포함됐다.
민선영 청년참여연대 운영위원장은 “20∼30대 청년은 전체 인구의 약 27%를 차지하고 40∼50대 다음으로 인구비중이 높은 집단이지만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산 규모는 전체의 1% 남짓이고 그마저도 대부분 일자리 정책에 집중돼 있다”고 비판했다. 또 “청년들이 정치에 무관심한 게 아니라 사실상 청년들이 정치를 할 수 없게 만드는 선거 관련 제도들이 문제”라는 얘기도 했다. 청년공동행동은 요구안을 광역단체장 후보들에게 공개 질의해 답변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 지역별로 출마한 청년 후보자들을 위한 지지 활동을 펼치고 투표 독려 캠페인, 투표시간 확보 캠페인 등도 벌일 계획이다.
엄창환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는 “청년이라는 이름을 생색내기용으로 남발해 온 정치권의 관성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청년정치·청년정책 확대하라”
입력 2018-04-24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