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풍계리 핵실험장 가동 상태… 폐쇄 ‘버리는 카드’ 아냐”

입력 2018-04-24 19:30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23일(현지시간) 논평을 내고 “풍계리 핵실험장은 여전히 완전한 가동 상태”라며 “이런 핵실험장을 북한이 폐쇄하는 건 버리는 카드가 아니다”고 밝혔다. 풍계리 핵실험장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고 지적한 전문가들을 반박한 것이다.

38노스는 논평을 통해 “북한이 6차례 핵실험을 실시한 풍계리 핵실험장은 우리가 아는 한 완전히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6차 핵실험 이후 북쪽 갱도는 버려졌지만, 굴착공사를 진행해온 서쪽과 남쪽 갱도에서는 핵실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38노스는 “풍계리 핵실험장이 미래의 핵실험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지을 근거는 없다”고 덧붙였다. 핵실험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치적 의지가 더 중요한 것이며, 풍계리 핵실험장이 불능상태에 빠진 것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에 배치한 군부대를 철수시켰지만 일부 병력은 비밀유지를 위해 남겨놨다고 보도했다. 아사히는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핵실험장 주변에 있던 병력 1200여명 중 상당수를 지난달 초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켰지만 300명 규모의 부대는 잔류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방사성물질과 실험 재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또 미국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 21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차량과 사람의 모습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중단하겠다는 북한 지도부의 뜻에 따른 조치로 해석했다.

한편 미 하원은 북한을 겨냥한 사이버테러 대응법안을 발의했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보도했다. 테드 요호 외교위 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이 지난 18일 대표 발의한 ‘사이버 억지와 대응’ 법안은 북한 등 해외 정부가 지원하는 사이버 공격에 통합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이버테러에 개입한 국가는 사이버테러국으로 지정해 제재를 부과하는 내용도 포함됐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