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질적·구체적 비핵화 조치해야 대북제재 완화”

입력 2018-04-24 19:33 수정 2018-04-24 21:49

“北과 비핵화 협상 유익할 것” 매티스 국방장관은 낙관론
폼페이오 상원 인준 무난할 듯
6월 8∼9일 G7 정상회의 이후 北·美 정상회담 개최 관측도


미국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이 발표한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중단과 핵실험장 폐기가 올바른 방향의 조치이긴 하지만 제재 완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완전하고 전면적인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구체적인 행동을 볼 때까지 최대의 압박 작전을 계속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완전한 비핵화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보유하지 않고 실험하지 않는 것”이라며 “북한은 언행이 일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북한 사람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지 않는다”며 “이전 정부에서 저지른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는 순진하지 않다”고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 관계자는 북한이 주장하는 점진적 비핵화 방식을 일축하고 미국은 비핵화 단계마다 이를 보상할 뜻이 없다고 말했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보도했다.

다만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매티스 장관은 워싱턴 국방부 청사에서 쁘라잇 왕수완 태국 국방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기에 앞서 기자들을 만나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이 유익할 것이라는 낙관론에 대한 많은 이유가 있다”며 “우리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매티스 장관은 낙관론의 이유가 무엇인지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로 평양을 극비리에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확인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내정자는 이번 주 중 미 상원의 인준 절차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상원 외교위에서 실시한 투표에서 찬성 11표, 반대 9표, 기권 1표로 과반의 지지를 얻었다. 당초 외교위 통과가 불투명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간곡한 설득으로 공화당의 랜드 폴 의원이 지지로 돌아선 것이 큰 요인이었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쯤 실시될 폼페이오 내정자에 대한 본회의 표결 전망도 한층 밝아졌다. 그가 상원 인준을 통과하고 이달 중 취임하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북·미 정상회담 준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캐나다 토론토에서 이틀간 회동을 마친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들은 성명을 내고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의 외무장관들은 성명에서 “북한의 핵무장을 절대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포기를 종용하기 위해 ‘최대 압박’ 기조를 유지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외교장관 회의에 이어 G7 정상회의는 오는 6월 8∼9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일각에서는 북·미 정상회담이 G7 정상회의 이후인 6월 중순 열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