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환영식·만찬… 김정은 국빈급 예우

입력 2018-04-23 18:54 수정 2018-04-23 23:42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3차 실무회담서 일정 합의… 남북 24일부터 리허설 돌입
文 대통령 수석보좌관회의 “핵 동결 정상회담 청신호… 핵 폐기 땐 밝은 미래 보장”


27일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방남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국빈 방문에 준하는 예우를 받게 된다. 정부는 김 위원장이 판문점 평화의집에 도착하기 전 공식 환영식을 열고 정상회담 후에는 공식 만찬을 개최키로 했다. 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평화의집까지 내려오는 약 200m 구간에서는 우리 군 의장대 사열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남북은 23일 3차 경호·의전·보도 실무회담을 갖고 27일 공식 환영식과 정상회담, 공식 만찬 일정에 합의했다. 합의는 남측 김상균 수석대표(국가정보원 2차장)와 북측 김창선 대표단장(국무위원회 부장)이 각각 서명·날인했다. 공식 오찬은 발표에서 제외됐다. 북한 평양에서 열렸던 1, 2차 정상회담 당시에도 남북 정상 간 공식 오찬은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별도 일정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공식 만찬은 최근 보수 공사를 끝낸 판문점 평화의집 만찬장에서 열릴 전망이다. 만찬에는 이설주 여사도 참석할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상 처음 방남하는 김 위원장을 국빈급으로 예우하는 것”이라며 “정상 오찬 등 나머지 일정은 북한과 협의가 끝나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남측 기자단이 판문각 북측 지역까지 월경해 김 위원장이 MDL을 넘어 남측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취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파격도 선보였다. 북한이 남측 기자단의 생중계를 허용한 점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이 걸어서 MDL을 넘어올 가능성이 높다.

남북은 24일부터 각각 정상회담 리허설에 돌입한다. 24일에는 남측, 25일에는 북측이 주도해 합동 리허설을 한다. 26일에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우리 측 공식 수행원 6명이 참가한 가운데 최종 리허설이 진행된다. 임 실장은 정상회담 전날인 26일 공동 기자회견 등 나머지 남북 합의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청와대는 정상회담 논의가 진전됨에 따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추가 방북은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남북 간 여러 라인을 통해 정상회담에 대한 포괄적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추가 특사 파견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 내용 역시 상당부분 논의가 이뤄졌다. 이 관계자는 “정상 선언문 역시 초안 수준은 아니지만 거의 정리가 돼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21일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중단 발표에 대해 “전향적 조치”라며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청신호”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은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성의 있는 조치로 높이 평가한다”며 “전 세계가 전향적 조치를 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핵 동결 조치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중대한 결정”이라며 “북한이 핵 동결로부터 출발해 완전한 핵 폐기의 길로 간다면 밝은 미래가 보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선행 조치로 그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란 기대를 낳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정치권도 정상회담 기간까지만이라도 정쟁을 멈춰줄 것을 당부드린다”며 “핵과 전쟁 걱정 없는 한반도를 위해 초당적 협력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