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문턱서 정상화 ‘물꼬’… 14차 교섭 끝에 임단협 잠정합의
군산공장 희망퇴직·전환 배치… 잔류 노동자는 추후 별도 협의
임금 동결하고 성과급 미지급… 勞, 합의안 25∼26일 찬반 투표
한국GM 노사가 법정관리 신청 시한인 23일 가까스로 임금단체협상에 잠정 합의했다. 최종 시한을 불과 1시간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양측이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한국GM 사태는 법정관리 위기에서 벗어나 정상화의 물꼬를 트게 됐다.
한국GM 노사는 이날 오후 4시쯤 인천 부평공장에서 제14차 교섭 끝에 군산공장 노동자 고용 문제, 복리후생 문제 등이 담긴 임단협에 합의했다.
노사는 그동안 핵심 쟁점이었던 군산공장 잔류 노동자 680명에 대해 우선 전환배치와 추가 희망퇴직만 시행하고, 무급휴직은 실시하지 않는다는 데에 합의했다. 대신 희망퇴직 시행 이후 잔류 인원에 대해서는 희망퇴직 종료 시점에 노사가 별도 합의하기로 했다.
노사는 또 부평공장에 내수 및 수출시장용 신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배정하고 부평공장의 미래 발전과 고용 안정을 위해 ‘부평2공장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창원공장에도 내수 및 수출시장용 신차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배정을 확정하고 이를 위해 일시적 공장운영 계획 변경과 생산성 향상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협력키로 했다. 노사는 또 미래발전위원회도 구성해 경영 성과 등을 논의키로 했다.
노사는 이날 오전 5시부터 교섭에 들어가 고용 문제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한 이후 오후 들어 자녀 학자금 지급 유보 등 복리후생비 삭감 관련 세부 항목에서 진통을 겪었다. 하지만 오후 4시쯤 노조가 1000억원 규모의 복리후생 비용 중 자녀 학자금 지원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을 대부분 절감하는데 동의하면서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합의안에 대한 노조의 찬반 투표는 25∼26일 진행될 예정이다.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이번 합의로 한국GM은 경쟁력 있는 제조기업이 될 것”이라며 “노사교섭 타결을 통해 GM과 산업은행 등 주요 주주 및 정부로부터 지원을 확보하고 경영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노사의 잠정 합의로 지난 2월 13일 군산공장 폐쇄 이후 악화일로를 걷던 한국GM 사태는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조만간 GM 본사는 한국GM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그동안 GM 본사는 노사의 자구안이 마련되면 기존 차입금 27억 달러(약2조9000억원)를 출자 전환하고 신규자금 28억 달러(약 3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도 부평공장 및 창원공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검토하고, 산업은행은 5000억원가량의 신규 자금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투데이 포커스] 한국GM 노사, 데드라인 1시간 앞두고 극적 합의
입력 2018-04-23 19:02 수정 2018-04-23 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