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한반도 평화 정착·북한 선교 마중물 되길”

입력 2018-04-24 00:01
통일운동 및 북한·탈북민 선교를 펼치는 교계 전문가들은 3일 앞으로 다가온 남북 정상회담이 평화 통일의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했다. 또 회담 이후 한국교회가 대북 인도적 지원뿐 아니라 북한의 자립을 돕는 개발·협력 사업에도 적극 나설 것을 조언했다.

국민일보는 지난 16일부터 23일까지 허문영 평화한국 대표와 윤은주 평화와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 사무총장, 조요셉 예수전도단 북한선교전략학교장, 박영환 서울신학대 한국기독교통일연구소장 4명에게 이번 회담에 거는 기대와 대북 교류에 있어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해 물었다. 인터뷰는 대면 또는 전화로 진행됐다.

“한반도 평화 정착 계기 되길”

교계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이 한반도 평화와 북한 선교를 위한 마중물이 되길 기대했다. 조요셉 교장은 “이번 회담으로 남북 간 전쟁 위협이 사라지고 평화가 정착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허문영 대표는 “체제 분단 70주년을 맞는 올해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데 신앙인으로서 큰 의미를 둔다”며 “이런 의미 있는 해에 열리는 회담이 마지막 남은 한반도의 냉전 체제 붕괴뿐 아니라 향후 북한 교회 회복에도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선교사의 석방 가능성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내비쳤다. 허 대표는 “이번 회담이나 그 이후라도 북한 내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선교사 3명의 석방이 안건으로 올라 논의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0여년간 대북 지원 사업을 해온 박영환 소장은 “이번 회담으로 북한을 도울 공식적인 일이 생기면 자연스레 북한을 돕고 그곳에 예수를 전할 간접적 통로도 생길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계 대북 지원, 개발·협력 분야 관심을

북한은 이번 회담 이전부터 세계개혁교회연맹(WCRC) 등 국제 기독교 단체를 초청하고 평양 조용기심장전문병원의 완공을 촉구하는 등 교계와의 교류·협력에 적극적인 모양새다. 교계 전문가들 역시 회담 이후 한국교회가 대북 인도적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다만 대북 지원 분야나 교류 시 주의할 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윤은주 사무총장은 한국교회의 대북 지원 방향을 인도적 지원이 아닌 개발·협력 분야로 틀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윤 사무총장은 “한국교회는 그간 식량과 젖염소를 보내고 노후 주택을 개량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대북 지원 사업을 펼쳐온 경험이 있다”며 “그 결과 이러한 지원에 한계를 경험한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는 산림녹화같이 북한 현지 필요에 따른 마을 개발 사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소장은 ‘수평적 지원’을 강조했다. 이제는 북한의 자립을 위한 기술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 소장은 “2011년 평양을 방문했을 때 느낀 건 이전보다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는 등 발전상이 엿보였다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북한을 어떻게 세계 속으로 끌어내느냐가 관건인 만큼 대북 사업에 있어서도 농업이나 과학 등 기술 분야를 지원하는 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북 교류 및 지원 논의에 앞서 한국교계가 한목소리로 평화와 통일을 이야기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허 대표는 “한국교회가 복음을 추구해야 하는데 이데올로기에 따라 보수와 진보 교회가 나뉘니 안타깝다”며 “일반적으로 보수 교계는 북한 인권문제에, 진보 교계는 대북 지원에 관심이 많은 만큼 이 두 가지를 통합한 ‘통일 선교 대전략’을 수립해 추진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조 교장 역시 한국교회가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 ‘통일선교협의회’를 제시했다. 그는 “자신의 선교관만이 옳다고 생각해 타 단체를 배척하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데올로기를 넘어 각자의 강점으로 북한을 도울 수 있는 플랫폼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민경 김동우 기자 grieg@kmib.co.kr